HOME
home
2025 LOOKIE
home

(피봇)솔라펑크

비즈니스 모델 소개

BM 활동시기
팀원(3명)
BM 기획서(파일 첨부)
2024.09.19 ~
문지원, 박찬흠, 전미강
LOOKIE 2024 사회문제 검증 계획서_YSII_솔라펑크.pptx
4817.3KB

사회 문제 정의

KSSB와 같은 지속가능성 공시 또는 환경 규제에 맞춰 대기업은 협력 중소기업에게 탄소 배출량 데이터를 요구하고 있음. 그러나 중소기업은 - 관련 데이터가 부재 (본질적인 원인) - 새로 데이터 생성하기에 인력과 돈이 부담

페르소나

한국형 RE100 가입한 중소,중견 기업
대기업 1,2,3차 협력사 중견 기업 + 친환경 분야 스타트업
최종 페르소나 구조 00000 산업 분야의 0000 명의 인원을 지닌 중소/중견 기업의 0000 연령대의 ESG 팀의 0000 담당자/대표님

 문제 원인 분석

문제 배경: 탄소 중립의 필요성

사회의 친환경적 전환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대두. IPCC는 2050년경에는 탄소중립(Netzero)을 달성하여야 한다는 경로를 제시하며 탄소 배출량 감축에 대한 필요성을 호소. 국내외 주요 기업과 금융기관 정부가 잇달아 탄소 중립을 선언 및 요구 전세계적으로 ESG 공시 규제를 의무화하는 ISSB는 2025년부터 단계적으로 ESG 공시를 의무화. 또한, 한국도 2026년부터 ESG 정보 공시 의무화인 KSSB가 도입될 예정.
중소기업은 공급망 안 상위 공급망의 요구사항과 경쟁력을 확보 하기 위해 대응 전략의 필요성이 대두.

문제 원인 0: 탄소 데이터를 산출할 데이터가 없음

문제 원인 1: 중소기업의 인식 부족

2024년 6일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조사
제조업 중소기업 183개사를 대상 ESG경영 실태조사 결과 규제 전반에 대해 알고 있다는 응답은 14.8%. ESG 개념은 알고 있지만 규제는 잘 모른다는 기업이 41.0%
출처 : 한스경제 [중소기업, 고객사 요구로 ESG경영 준비는 하는데…"현실은 막막”]

문제 원인 2: 중소기업에게는 부담

같은 조사에서 중소기업들은 ESG경영 도입의 애로사항으로
내부 전문인력 부족(25.7%), 컨설팅 시스템 도입 등 비용(18.1%), ESG 규제 지원 등 정보 획득의 어려움(14.1%), 복잡한 평가 기준(13.5%) 등을 들음. 출처 : 한스경제 [중소기업, 고객사 요구로 ESG경영 준비는 하는데…"현실은 막막”]
현재 중소기업의 26% 만이 실제로 대비하고 있으며, 76%의 경우 전담 조직이 부재하며 환경 부문에서 준비가 부족한 상태. 출처: 중소기업벤처기업부 중기 정책연구 리포트(ESG 성과분석)

문제 원인 3: Scope3 탄소 배출량 산정의 어려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0%가 Scope 3에서 발생하기 떄문에 기업의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필수적. 하지만 Scope3 데이터는 정확한 측정이 어려우며 기업의 통제 범위 밖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추적 및 관리가 어려움.

솔루션

중소기업이 관리하고 있는 데이터 중 엑셀, 시트 형태가 다수 존재
따라서 굳이 웹 플랫폼에 가입해 자신의 데이터를 입력하지 않아도 기존에 관리하고 있는 테이블 데이터에서 익스텐션만 연결하면 중소기업 입장에서 더 편하지 않을까?

구글 스프레드시트의 확장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되는 자동 계산 솔루션 카본룩업

API 키 제공: 익스텐션 활용 및 대시보드 용 API 키 생성
규제별 함수: 기본 프로토콜 및 규제에 필요한 탄소 배출 데이터 산출. 스프레드 시트 함수 및 탄소 배출 데이터 산출의 기본적인 기능을 무료로 제공해 사용자 유입 촉진.
프리미엄 플랜: 사업별 맞춤형 보고서 생성, 국제 규제 실시간 대응 기능, 맞춤형 데이터 분석을 위한 유료 구독.
수익: 익스텐션 프리미엄 기능 사용료
예시 이미지- benchmarking 사례: Climatiq
<API 키 받는 화면>
<기업 맞춤형 탄소 배출 변수 관리 대시보드>
<규제별 함수와 시트 익스텐션>

차별화 포인트 (국내 기업을 대상)

 임팩트 예상

환경적 측면
기업의 탄소 배출량 감축
온실가스 배출량 데이터의 투명성 증가로 탄소 중립 실현 가속화
경제적 측면
중소기업이 규제를 충족하고 정부 인센티브나 투자 유치 기회를 확보.
저비용 솔루션으로 환경 경영에 진입장벽을 낮춰 중소기업의 시장 경쟁력을 확보

 진행 현황

데스크 및 현장 리서치를 통한 고객 페르소나 가설 검토 [2024.01 ~ 2025.02]

고객사 인터뷰
한국형 RE100에 가입한 중소, 중견 기업을 대상으로 매일 9개씩 콜드콜
전략 변경: 대기업 협력사 및 환경 스타트업 중심으로 커피챗 mass 콜드콜 세팅 중
관련 행사 참여, 네트워킹
전시회, 박람회 활용 1차 설문 및
경쟁사 인터뷰
경쟁사 커피챗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 데이터 시장 분석 및 우리 팀의 차별화 전략 모색
협력사 인터뷰
정책, 규제에 민감한 주제이기 때문에 현장에 대한 인사이트 수집
소개 가능한 타겟 고객사 모색

향후 계획

팀 구성

문지원(팀장)

박찬흠(총무)

전미강

구분
활동 목표
상세 내용
- 뾰족한 문제 정의 - 차별화 전략 구체화
- 월~금 팀원 당 중소기업 3개씩 미팅 콜드메일 - 탄소중립, 중소기업 관련 행사 및 전시회 현장 리서치 및 인터뷰
- 서비스 참여 고객사 모색 & 서비스 기획 - MVP 제작, MVP 활용 컨텐츠 제작
- 콜드메일, 현장 리서치 인사이트 바탕 서비스 기획 및 제작
- MVP 영업 - MVP 적용 고객사의 피드백으로 오가닉하게 서비스 고도화
- 웨비나, 무료 서비스 시연, 행사 참여 등으로 고객사 모집
COUNT3

 수상 경력

2024 Winter Workstation 선정
July 2025
Today
S
M
T
W
T
F
S
날짜
구분
내용
첨부파일
2024/09/24
솔루션 논의 및 BM 관련 시스템 분석
솔라펑크_20240924_1차 회의록.docx
2024/10/01
1팀 1BM과제(1st Round 보고서 작성), 컨택 리스트업, BM 수정
솔라펑크_20241001_2차 회의록.docx
2024/10/09
필드리서치 계획 및 컨택 결과, 사회문제 검증 계획서 작성
솔라펑크_20241009_3차 회의록.docx
2024/10/29
사회 문제 재정의 및 솔루션 논의
솔라펑크_20241029_4차 회의록.docx
날짜
영수증 번호
지출 내역
입출금 금액
구분
영수증 (실물정산서)
비고
2024/10/11
1
₩-15,500
개발비
2024/10/11
2
₩-16,000
개발비
2024/10/11
3
₩-11,200
개발비
2025/03/24
4(대관비1)
₩-7,000
개발비
2025/03/24
5(개발비1,2)
₩-17,903
개발비
2025/03/30
6(개발비3)
₩-10,000
개발비
2025/04/03
7(대관비2)
₩-7,000
개발비
2025/04/03
8(개발비4)
₩-3,000
개발비
2025/04/03
9(개발비5)
₩-17,600
워크스테이션비
2025/04/03
10(개발비6)
₩-15,000
워크스테이션비
2025/04/04
11(개발비7)
₩-15,000
워크스테이션비
2025/04/06
12(개발비8)
₩-15,000
워크스테이션비
2025/04/07
13(개발비9)
₩-15,000
워크스테이션비
2025/04/08
14(개발비10)
₩-15,000
워크스테이션비
2025/04/08
15(개발비11)
₩-15,000
워크스테이션비
2025/04/11
16(개발비12)
₩-15,000
워크스테이션비
2025/04/11
17(개발비13)
₩-15,000
워크스테이션비
2025/04/12
18(개발비14)
₩-15,000
워크스테이션비
2025/04/14
19(개발비15)
₩-15,000
워크스테이션비
2025/04/14
20(개발비16)
₩-15,000
워크스테이션비
윈터워크스테이션 잔액 317,512원, AIM 잔액 약 17,600원

 피봇 사유

핵심 문제 원인과 팀 역량 사이의 괴리
한국 중소기업 전반에는 환경 문제에 대한 경각심과 인식이 아직 낮은 편.
타겟 페르소나의 문제를 해결하려면 중소기업 간 정보 공유가 핵심이지만, 복잡한 갑을 관계 구조 속에서 현재 학생 창업팀의 입장으로는 이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데 한계가 존재.
탄소 배출이나 기타 환경 관련 정보를 공개하는 것은 기업 입장에서 기밀 유출과 연결될 수 있어, 해당 정보를 안전하게 다루고 신뢰를 얻기 위한 기술적·운영적 역량이 현재 팀 수준에서 충분히 확보되었다고 보기 어려웠음.
“Why now?”라는 질문에 대한 고객과의 공감대 형성 부족
글로벌 트렌드에 비해 국내 중소기업은 환경 규제 대응에 여전히 회의적인 시선을 가지고 있음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쌓기 위해선 지금부터 솔루션을 도입해 아카이빙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규제 자체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중소기업들은 ‘왜 지금 이 솔루션을 도입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