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home
2025 LOOKIE
home
🔄

1차 사회 문제 피봇 이유

문제

잉여 전력이 발생 됨에도 보상 또는 처리가 어려움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이뤄져야 하는 전력 시장 특성 상, 현재 한국 태양광 인프라의 과잉 공급으로 전력 인프라에 부담이 되고 있음. 이는 에너지 효율화를 방해하며 장기적으로 전체 전력 인프라에 피해.
한국전력은 전력 과잉 생산을 막기 위해 태양광 발전 사업자들에 출력 제한을 걸고 있음. 태양광 발전 사업자들에 손해로 이어짐.
가정이 개인이 설치한 태양광의 잉여 전력으로 거래 제도를 쉽게 활용하기 위한 인프라가 부족함
전력 과잉 사태로 발생하는 잉여 전력 쉐어링 솔루션!

핵심 인사이트

정말로 잉여 전력이 발생하는가?
발생은 함. 그러나 더 중요한 점은 모든 잉여 전력은 다 한국전력 소유라서 결국 개인&개인과 한국 전력 사이에 우리가 참여하게 되는 그림.
대학생 팀이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의 문제인가?
현재 설정한 문제는 우리 수준보다는 큼. 더 구체화하고 작은 단위의 문제로 narrow down이 필요.
우리 팀이 수요관리사업자가 될 수 있나?
>>>현 조건에서는 불가능.
1. 기술인력 :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전기·전자·기계·건축·토목·환경·정보통신 분야의 기사 2명 이상(전기분야 기사 1명 이상 포함)
2. 지능형전력망 정보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보호조치 계획이 마련
그럼 아예 방법은 없는 건가?
현재 DR제도 또는 개인 간 전력 거래를 위해서 샌드박스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음. 샌드박스에 참여한 기업과 협업하는 방식으로 활동은 가능. 그러나 독립적으로 위 두 시장에 참여는 법적으로 막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