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home
2025 LOOKIE
home
🍓

페브리코(딸기꽃잼)

비즈니스 모델 소개

BM 활동시기
팀원(05명)
BM 기획서(파일 첨부)

소셜 미션

농산물들의 2차 가공을 통한 제품 제조로 영세 농업인의 경제적 고립감 해소
평균 농가소득은 41,182천 원이고, 따라서 영세농가(기초수급자 및 차상위)의 소득은 20,591천 원 이하 농가이며 이들의 약 *평균소득은 4,910천 원 (*농축산물 판매규모별 농가에 속해있는 농가 수 x 판매액의 중위값)
농작업 중 발생한 피해 보상을 위해 가입하는 정책보험 보험료의 일부를 지원 서비스 일반농가 50% 지원, **영세농가(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70% 지원 (**영세농가를 지자체가 아닌 부나 처에서 다루는 유일한 경우)
영세농가 분류 기준은 일반적인 기초수급자/차상위 분류 기준과 동일함 (출처: 보건복지부 농림축산식품부 재해보험정책과 이병길 주무관)
2019년 4/4분기 전체가구 연 평균소득은 19,087천 원이고, 따라서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는 9,544천 원 이하 가구이며 이들의 평균소득은 약 6,708천 원
영세농가의 평균소득이 대한민국 영세가구 평균소득보다 27% 낮기에, 영세농가의 소득 증대 필요성 존재
IMP 5 Dimension에 따른 사회적(정량적) 가치 계산

솔루션

비인기 지역(칠곡 - 딸기) 농산물의 2차 가공을 통한 D2C 판매
기존 딸기 = 논산 이미지를 탈피하고 칠곡에서 생산한 딸기 역시 고품질로, 인식개선을 목표
구분
활동 목표
수익 목표
- 2021년 01월 공장 방문 및 ODM 계약 발주 - 사업자등록증 및 통신판매업 신고
500만 원 목표
- 2021년 04월 자가품질검사 및 성분검사 진행
500만 원 목표
- 2021년 05월 와디즈 런칭 및 홍보작업 진행 →팀원 이탈로 홍보작업 미진행, 예상 목표치 하회
130만 원 수익달성
COUNT4

임팩트 측정 (3개 이상 작성)

1.
제품판매로 영세농업인 소득증대에 기여(매출원가 약 65%)
2.
해당 제품의 IP(딸기꽃잼) 영세농업인 소유로 양도 및 자체 잼 개발 일조(현재 공장에서 자체적으로 새로운 IP의 잼 개발 중)
3.
참가자 기준 인식 정도 20% 성장 (사전/사후 설문 기반)

활동일지

July 2025
Today
S
M
T
W
T
F
S
날짜
내용
Column
담당자(총무)
2020/04/09
₩250,000
이현창
2020/06/04
₩1,000,000
이현창
2020/07/15
₩-1,001,000
이현창
2020/08/20
₩2,000,000
이현창
2020/10/21
₩-269,624
이현창
2021/01/24
₩-112,600
이현창
2021/04/12
₩-285,000
이현창
2021/05/07
₩-155,400
이현창
2021/05/23
₩-103,230
이현창
2021/05/27
₩-1,080,500
이현창
2021/05/28
₩-150,150
이현창
COUNT12
SUM₩-145,104
예산 신청서
해당사항 없음(활동종료)

기타

피봇보고서

활동 단계

우리 BM의 단계에 O 표시
단계
구분
상세내용
BM 위치
사회문제 정의
사회문제를 인식하고 정의하고 있는 단계
BM 기획중
정의된 사회문제를 바탕으로 비즈니스 모델(솔루션)을 기획하고 있는 단계
BM 기획완료
비즈니스 모델 프로세스 전반에 대한 기획이 완료된 단계
프로토타입제작
비즈니스 모델을 제작하고 있는 단계 (크라우드 펀딩 및 공모전의 경우 최종 목표를 위한 자금 모으기 활동 중의 하나로 해단 단계에 포함)
O
BM 실행
목표에 대해 Acting하는 과정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실행하고 있는 단계
창업준비
만들어진 BM을 대상으로 아래단계의 전과정을 거쳤으며 창업을 준비하는 단계
창업완료
사업자 등록 및 서비스가 실행되고 있는 단계

실행 내용

구분
활동 목표
수익 목표
실행 완료 내용
- 2020년 07월 이전 산업 리서치 및 아이디어 확립 - 2020년 07월 이전 설문조사 진행
1,000만 원 목표
- 산업 리서치 및 BM 확립 - 50명 이상 설문조사 진행
- 2020년 08월 이전 패턴 의뢰
1,000만 원 목표
- 아동복 전문가로부터 패턴 의뢰
- 2021년 이전 프로토타입(샘플) 제작 의뢰 및 전문가 자문
- 샘플 제작 완료 - 전문가로 인해 제품의 현실가능성 고려 및 피봇 결정(2020년 11월)
COUNT3

활동 상세 이력

현장 활동 시장 조사를 위한 대학생 대상 설문조사 진행 - 설문조사 결과 [첨부]
전문가 자문 및 멘토링 부자재 구매 위한 동대문 답사 및 디자이너 미팅 - 패턴 샘플 첨부
외부협력 서울 모 병원 피부과 원장님과 이야기 및 조언 - 하지만 실질적인 협력(이름/브랜드 라이센스 사용)은 실패

임팩트 도출 결과

제품을 실제 판매까지 이어가지 못하여, 별도의 임팩트 창출하지 못함
제품의 프로토타입(샘플 옷) 제작 완료하였으나, 의학적인 능력 및 시간 부재로 피봇

내/외부 평가

서울 모 병원 피부과 원장님이 아토피 의류의 경우 원단의 문제보다는 세탁에 대한 중요성을 피력하시며, 현실가능성에 대한 의문제기
인체공학적 의류 디자인과 부모의 니즈 파악에 대한 어려움 - 아동복은 성인 기성복과는 다른 디자인 특수성에 대한 전문지식 부족 - 아동복은 일반 기성복과는 다르게, 소비는 아동 본인이 하지만, 구입은 부모(성인)이 하는 구조이기에, 기존 의류판매와는 다른 특수성 존재(구매자인 부모를 만족시켜야 함)

피봇 사유

현실성 재고 - 아토피피부염 유관 논문이 존재하나, 해당 논문을 근거로 의료제품 제작 불가 - 자체 실험성적서 및 논문까지 만들 수 있는 능력 부재
타겟 고객에 대한 인지 부족 - 영유아를 낳은 젊은 신혼부부들과의 커넥션 부족

피봇 분석 및 개선점

문제 상황에 대한 사전 인지 부족 등 - 의류 관련 법에 대한 리서치 부족 - 전문가 자문으로는 판매 불가하여 별도의 논문이나 실험 필요로 인한 피봇
인체공학적, 특히 영유아 관한 주변 자문 부족 - 의류 디자인 및 패션 유관전공자 부재

우리 BM의 BEST 3가지

1.
실제 아토피피부염을 겪으며 유년시절을 보냈던 팀원들로, 유대감 및 공감대 형성
적극성, 전문성 및 흥미 ↑
2.
주변인 중 아토피피부염으로 어려움을 한번이라도 겪어본 사람 多
3.
전문가 자문에 대한 편이성 및 높은 접근성
팀원 중 의료계 종사자 가족이 있어 조언을 구하기가 유리, 전문성을 갖출 수 있었음

새로운 아이디어 제안

실제 영유아들의 아토피피부염에 관한 제품제작을 생각하면서 전문성 부분이 문제가 존재하여 팀원들이 평소 관심이 많고, 상대적으로 적은 돈 및 전문성으로 사회적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식품으로 주제를 선정하고, 2030을 타겟으로 하는 아이디어로 피봇 - 딸기꽃잼이라는 아이디어 생성

느낀점/배운점

사전 리서치에 대한 중요성 및 에자일 방법 고민
타겟 고객으로부터의 피드백 부재 및 현실가능성에 대한 고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