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모델 소개
소셜 미션
•
농산물들의 2차 가공을 통한 제품 제조로 영세 농업인의 경제적 고립감 해소
◦
평균 농가소득은 41,182천 원이고, 따라서 영세농가(기초수급자 및 차상위)의 소득은 20,591천 원 이하 농가이며 이들의 약 *평균소득은 4,910천 원 (*농축산물 판매규모별 농가에 속해있는 농가 수 x 판매액의 중위값)
▪
농작업 중 발생한 피해 보상을 위해 가입하는 정책보험 보험료의 일부를 지원 서비스 일반농가 50% 지원, **영세농가(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70% 지원 (**영세농가를 지자체가 아닌 부나 처에서 다루는 유일한 경우)
▪
영세농가 분류 기준은 일반적인 기초수급자/차상위 분류 기준과 동일함 (출처: 보건복지부 농림축산식품부 재해보험정책과 이병길 주무관)
◦
2019년 4/4분기 전체가구 연 평균소득은 19,087천 원이고, 따라서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는 9,544천 원 이하 가구이며 이들의 평균소득은 약 6,708천 원
◦
영세농가의 평균소득이 대한민국 영세가구 평균소득보다 27% 낮기에, 영세농가의 소득 증대 필요성 존재
•
IMP 5 Dimension에 따른 사회적(정량적) 가치 계산
솔루션
•
비인기 지역(칠곡 - 딸기) 농산물의 2차 가공을 통한 D2C 판매
◦
기존 딸기 = 논산 이미지를 탈피하고 칠곡에서 생산한 딸기 역시 고품질로, 인식개선을 목표
임팩트 측정 (3개 이상 작성)
1.
제품판매로 영세농업인 소득증대에 기여(매출원가 약 65%)
2.
해당 제품의 IP(딸기꽃잼) 영세농업인 소유로 양도 및 자체 잼 개발 일조(현재 공장에서 자체적으로 새로운 IP의 잼 개발 중)
3.
참가자 기준 인식 정도 20% 성장 (사전/사후 설문 기반)
활동일지
예산 신청서
해당사항 없음(활동종료)
기타
피봇보고서
활동 단계
우리 BM의 단계에 O 표시
실행 내용
활동 상세 이력
•
•
전문가 자문 및 멘토링
부자재 구매 위한 동대문 답사 및 디자이너 미팅
- 패턴 샘플 첨부
•
외부협력
서울 모 병원 피부과 원장님과 이야기 및 조언
- 하지만 실질적인 협력(이름/브랜드 라이센스 사용)은 실패
임팩트 도출 결과
제품을 실제 판매까지 이어가지 못하여, 별도의 임팩트 창출하지 못함
•
제품의 프로토타입(샘플 옷) 제작 완료하였으나, 의학적인 능력 및 시간 부재로 피봇
내/외부 평가
•
서울 모 병원 피부과 원장님이 아토피 의류의 경우 원단의 문제보다는 세탁에 대한 중요성을 피력하시며, 현실가능성에 대한 의문제기
•
인체공학적 의류 디자인과 부모의 니즈 파악에 대한 어려움
- 아동복은 성인 기성복과는 다른 디자인 특수성에 대한 전문지식 부족
- 아동복은 일반 기성복과는 다르게, 소비는 아동 본인이 하지만, 구입은 부모(성인)이 하는 구조이기에, 기존 의류판매와는 다른 특수성 존재(구매자인 부모를 만족시켜야 함)
피봇 사유
•
현실성 재고
- 아토피피부염 유관 논문이 존재하나, 해당 논문을 근거로 의료제품 제작 불가
- 자체 실험성적서 및 논문까지 만들 수 있는 능력 부재
•
타겟 고객에 대한 인지 부족
- 영유아를 낳은 젊은 신혼부부들과의 커넥션 부족
피봇 분석 및 개선점
•
문제 상황에 대한 사전 인지 부족 등
- 의류 관련 법에 대한 리서치 부족
- 전문가 자문으로는 판매 불가하여 별도의 논문이나 실험 필요로 인한 피봇
•
인체공학적, 특히 영유아 관한 주변 자문 부족
- 의류 디자인 및 패션 유관전공자 부재
우리 BM의 BEST 3가지
1.
실제 아토피피부염을 겪으며 유년시절을 보냈던 팀원들로, 유대감 및 공감대 형성
•
적극성, 전문성 및 흥미 ↑
2.
주변인 중 아토피피부염으로 어려움을 한번이라도 겪어본 사람 多
3.
전문가 자문에 대한 편이성 및 높은 접근성
•
팀원 중 의료계 종사자 가족이 있어 조언을 구하기가 유리, 전문성을 갖출 수 있었음
새로운 아이디어 제안
•
실제 영유아들의 아토피피부염에 관한 제품제작을 생각하면서 전문성 부분이 문제가 존재하여 팀원들이 평소 관심이 많고, 상대적으로 적은 돈 및 전문성으로 사회적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식품으로 주제를 선정하고, 2030을 타겟으로 하는 아이디어로 피봇
- 딸기꽃잼이라는 아이디어 생성
느낀점/배운점
•
사전 리서치에 대한 중요성 및 에자일 방법 고민
•
타겟 고객으로부터의 피드백 부재 및 현실가능성에 대한 고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