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home
2025 LOOKIE
home

Weekly(Sun) 2024/11/24 (1)

공지 (회의 전 알리고 팀원들에게 알려야 하는 점!)

@Alexandra Moon
포지티브미, 톤28 대표님 연락 옴
포지티브미: 링크드인으로 전화번호 공유
톤28: 이메일 아직 못 보냄… 오늘 보낼 예정
@(언더우드국제대학 경제학) 박찬흠
예전 팀이랑 했던 필드리서치
https://docs.google.com
@(학부대학 이학계열) 전미강
세이브 타임: 이메일로 질문 3가지 드렸는데 답변해주심(slack 시트에 내용 정리)

저번 To-dos check-up

 아젠다

고객 설문조사 (20~40대) 다음주 평일 시작 가격의 범위 (제품 품목 - 휴지, 패션, 화장품, 등 → 비친환경 제품 vs 친환경 제품 브랜드 제시) 친환경적 소비 습관을 일으킬 공감 포인트 친환경 제품을 산다면 또는 탄소상쇄비용을 치러야 한다면 얼마까지 가능 친환경 제품에 대해 얻고 싶은 정보 (품질, 자기 건강 영향, 친환경성의 정확도) 브랜드 뭐 씀? 한 번이라도 구매 해봤음? 구매를 안 해봤으면 왜 안 했음? 경기가 안 좋아서 친환경 소비 습관을 기르기 어려울 것 같은데, 스스로는 어떻게 하고 있는지 (조금 쉬고 있다, 그래도 하고 있다, 품목을 줄였다)
친환경에 대한 인식(가격, 선택지, 오프라인 매장, 품질, 효과의 불투명성, 정보의 부족, 가성비 등)
BM 평가(시각화 자료를 통해 실질적 구매 조사, 의견 수렴)
브랜드 인터뷰
목표: 50개 브랜드 (파는 제품에 따라 분류)
화장품
스포츠 용품
패션
흔히 쓰는 일반 소비재(휴지)
주방 용품
문구
기타
형식
1차 목표: 전화, 비대면 인터뷰가 가능한지를 파악 (개인 이메일, 인스타, 링크드인, 등으로 컨택을 하면 더 효율)
2차 목표: 이메일로 질문 보내기
전달 내용
우리 소개 : SK lookie, 연세대학교 언급, 행복나눔재단 언급
예시) 안녕하세요. 저희는 SK LOOKIE 소속 연세대학교 창업학회 YSII(Yonsei Social Imapct Inovator)에서 소셜 임팩트 창출을 추구하는 소셜벤처 양성 단체에서 활동하고 있는 박찬흠(언더우드학부 경제학과)입니다.
해당 단체는 SK 행복나눔재단에 2017년부터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인준된 단체입니다. 더불어서, 공식적으로 연세대학교 창업지원단의 Jump UP 창업 동아리 소속이기도 합니다.
후크 : 연락하는 사람마다 연결고리 언급 지속가능성에 관심있는 팀으로 톤28의 세바시 영상을 재밌게 시청했는데요, 대표님의 환경을 위해 행동한다는 슬로건을 보고 깊이 공감했습니다. 이제는 환경에 대해 생각하는 것에서 멈추고 정말 행동해야 하는 시기가 도래했다고 믿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현재 “~~~~(우리 주제)~~” 하고 있는데,
질문 (6개)
브랜드 현재 상태 (2)
소비자들이 친환경 제품을 선택하도록 하는 가장 큰 동기 또는 장애물은 무엇이라고 보시나요?
소비자들에게 친환경 제품의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요 전략(마케팅, 브랜딩)은 무엇인가요? 그 이유는?
친환경 제품을 제작하면서 가장 중점을 두는 부분은 무엇인가요? (품질, 원재료 등)
소비자들이 점차 친환경 제품에 더 관심을 갖게 되면서 느끼신 변화가 있나요? 있다면 그것이 비즈니스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요?
친환경 제품 구매에 대해 소비자들이 제기하는 가장 큰 장벽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비친환경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를 친환경 제품으로 전환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기존의 마케팅 채널 중 어떤 채널이 가장 효과적이었나요?
주로 어떤 연령대, 지역, 또는 가치관을 가진 소비자들이 제품을 구매하나요?
현재 하고 계신 마케팅의 소재와 테마는 어떤 이유로 선정하신 건지
타겟 고객에게 친환경성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현재 운영 중인 채널(온/오프라인) 중 가장 효과적인 것은 무엇인가요?
사업 과정에서 어려움 (2)
친환경 제품을 홍보(브랜딩)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으신 적이 있다면, 어떤 부분에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셨는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현재 하고 계신 사업을 더 친환경적으로 끌고 싶은가요? 구체적인 전략있나요?
우리 서비스 (2)
만약 친환경 제품을 홍보하는 앱이나 팝업 창 확장 프로그램이 생긴다면, 이를 사용하기 위해 비용을 지불할 의향이 있으신가요?
혹시 탄소상쇄 제도에 대해 아시는지 그리고 이것이 브랜딩과 마케팅에 도입해볼 생각을 해 보셨는지. 고민을 했다면 어떤 이유로 도입했는지/도입 안 했는지
타 플랫폼(쿠팡, 네이버)에서 상품을 검색했을 때 팝업 형태로 자사의 친환경 제품을 추천하는 서비스가 있다면, 1. 기업 입장에서 이를 활용할 의향이 있으신가요? 의향이 없다면 무엇을 걱정하시나요? 2.실질적인 구매로 이어질 것이라고 생각하는지(3.효과 평가)?
친환경 추천 서비스에 대한 비용 지불 의향이 있다면, 월간 또는 연간으로 어느 정도의 비용을 지불할 의사가 있으신가요?
이 외에 저희가 친환경 제품 추천 플랫폼을 개발할 때 참고해야 할 중요한 점이 있을까요?
친환경 제품 마케팅에 있어 외부 협력(예: 마케팅 대행사, 플랫폼 등)이 얼마나 필요하다고 느끼시나요?
컨택 방식 요청 이런 점에서 대표님의 인사이트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혹시 이메일, dm, 전화 등 편하신 방법으로 인터뷰 요청해도 될까요?
감사합니다
외부 인터뷰(전문가)
EcoCart (찬흠)
정확하게 무슨 문제, 계기 때문에 이런 솔루션을 만든 거냐
데모 영상 요청
브랜드에 대한 페르소나 (중소브랜드, 큰 브랜드)
1.
요즘 매출 어떻게 하는지
a.
왜 그런 변화가 있었던 것 같은지
2.
마케팅 어떻게 하고 계시는지
3.
경쟁사가 누구라고 생각하는지, 비친환경 제품도 경쟁사라고 생각하는지

다음 회의(화)까지 To-dos

브랜드 발굴 및 컨택, 질문
ecocart 이메일
고객 인터뷰 아이디에이션 해오기
⇒ 문제 정의를 위해서

MVC를 위하여!

다음주
화요일 온라인 밤 9시 반 (고객 설문조사 제작, 브랜드 발굴 업데이트)
토요일 온라인 밤 9~12시 (고객 설문조사 배포 업데이트, 브랜드 발굴 업데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