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home
2025 LOOKIE
home

오감 + 피봇 보고서

감각을 통한 너와 나의 공감, 오감(五感)은 장애예술인의 작품을 일상 속에서 볼 수 있고, 다양한 감각을 포함할 수 있는 아트 디퓨저를 제작합니다. 이는 시각으로 편중되어 감상되던 예술을 다양한 감각을 사용해 즐기도록 합니다.

비즈니스 모델 소개

BM 활동시기
팀원(5명)
BM 기획서 (파일 첨부)
2022.04.17 ~
윤수빈(팀장), 김도영, 김준우, 박세현, 손지원
LOOKIE 2022 1차 BM 심사 기획서_연세대학교 오감.pdf
2947.1KB

소셜 미션

사회적 편견으로 인해 부족한 장애예술인에 대한 관심 및 지원
장애예술인의 발표공간 부족
배리어프리 시설 부족으로 문화 향유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

솔루션

: 장애예술인의 작품을 눈, 소리, 피부로 감상하고 이를 향으로 각인시키는 오감 아트 디퓨저를 만들어 장애 예술인들의 작품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공감을 확산시키고자 함
: 3D 모델링 프로그램을 통해 그림 엽서와 디퓨저, 받침대로 구성되는 오감의 아트 디퓨저 제품 형태를 입체적으로 구현하여 실제적인 프로토타입 디자인을 완성함
[프로토타입 이미지]
구분
활동 목표
수익 목표
장애예술인 작품 선정 업체(조향, 공병, 레이저프린팅, 엽서) 선정
-
샘플 제작 크라우드 펀딩 80개 목표
-
COUNT4

임팩트 측정 (3개 이상 작성)

일상 속에서 누구나 손쉽게 문화를 향유
장애예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 및 인식 개선
장애예술인에게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금전적 지원 솔루션 제공

활동일지

July 2025
Today
S
M
T
W
T
F
S
날짜
구분
참가자
내용
첨부 파일
2022/04/08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프로젝트명 확정, BM 구체화 논의
220408.docx
2022/04/09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1차 BM 심사 기획서 작성 내용 통일, 제품 디자인 및 구성 요소 결정
220409.docx
2022/04/11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협업체 컨택 결과 공유, 제품 디자인 및 구성 요소 추가 논의, 프로젝트 로고 디자인
220411.docx
2022/04/12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1차 BM 심사 기획서 수정 및 마무리
220412.hwp
2022/04/13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IR 피칭 피피티 및 대본 작성, IR 피칭 영상 촬영 및 수정, 1차 BM 심사 예산안 작성
220413.docx
2022/04/27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1차 BM 심사 결과 확인 후 추가 피드백 논의, BM 방향 수정
220427.docx
2022/04/29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새로운 BM 아이디에이션 발표, BM 결정, 예산신청서 작성
220429.docx
2022/05/04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오감 노션 페이지 수정, 워크스테이션 BM 심사 기획서 ‘미션 수립’ 부분 추가 수정
220504.docx
2022/05/06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루키 BM 심사 날짜 확정 오감 디퓨저 피드백 논의 오감 디퓨저 내부모델 결정
220506.docx
2022/05/12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1차 심사 관련 SK측 피드백 분석, 문제검증 부분 필드리서치 계획
220512.docx
2022/05/18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BM 문제 및 제품 변경, BM 기획서 초안 논의
220518.docx
2022/05/20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사회 문제 구체화, BM 기획서 워딩 단순화
220520.docx
2022/05/24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BM 기획서 수정본 수합 및 수정, 세부액션플랜 수정
220524.docx
2022/05/25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BM 실현을 위한 일정조정
220525.docx
2022/06/02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제품형태 조사, 기획서 수정
220602.docx
예산 신청서
LOOKIE 2022 1차 BM 심사 예산신청서_연세대학교 오감.xlsx
58.9KB

기타

오감팀 피봇 보고서

피봇보고서

활동 단계

우리 BM의 단계에 O 표시
단계
구분
상세내용
BM 위치
사회문제 정의
사회문제를 인식하고 정의하고 있는 단계
BM 기획중
정의된 사회문제를 바탕으로 비즈니스 모델(솔루션)을 기획하고 있는 단계
BM 기획완료
비즈니스 모델 프로세스 전반에 대한 기획이 완료된 단계
O
프로토타입제작
비즈니스 모델을 제작하고 있는 단계 (크라우드 펀딩 및 공모전의 경우 최종 목표를 위한 자금 모으기 활동 중의 하나로 해단 단계에 포함)
BM 실행
목표에 대해 Acting하는 과정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실행하고 있는 단계
창업준비
만들어진 BM을 대상으로 아래단계의 전과정을 거쳤으며 창업을 준비하는 단계
창업완료
사업자 등록 및 서비스가 실행되고 있는 단계

실행 내용

구분
활동 목표
수익 목표
실행 완료 내용
한국장애예술인협회를 통한 장애예술인 작품 선정 및 계약 체결
-
BM 방향성 재논의
제품 제작 및 구성품 최종 검토
-
BM 방향성 추가 논의 후 피봇 결정
샘플 제작
-
펀딩 리워드 발송
목표판매수량 80개 달성
COUNT4

활동 상세 이력

1.
제품 구체화
: 3D 모델링 프로그램을 통해 그림 엽서와 디퓨저, 받침대로 구성되는 오감의 아트 디퓨저 제품 형태를 입체적으로 구현하여 실제적인 프로토타입 디자인을 완성함
2.
협업체 컨택
: 오감의 아트 디퓨저 제품 제작을 위해 협업하는 업체로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기업 선정 및 컨택 시도
[그림] - 한국장애예술인협회
특정 작가님의 작품 사용 문의에 대해서는 거절 답변을 받았으나, 오감의 프로젝트 및 협업과 관련해서는 긍정적인 답변을 얻음
1) 뤼미에르 퍼퓸
실제 제공받을 제품 및 단가 측정 완료
2) 인비저블
오감의 프로젝트 및 협업 제안과 관련하여 긍정적인 답변을 얻었으나, 제공받을 제품이나 단가 측정은 완료되지 못함

임팩트 도출 결과

프로토 타입 실물 구현 과정 중 제품 피봇
: (초기 계획)
80개의 제품 제작 및 판매를 통해 장애인의 문화 예술 향유권을 확대하고 배리어프리 문화에 대한 인식 확산시킴.
(중단시기)
1차 BM심사 이후 제품 구체화보다는 피봇을 해야 한다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짐.
→ 실물로 제품을 제작하기 전 제품을 피봇하게 되어 기존에 계획했던 임팩트 측정이 불가하게 됨.

내/외부 평가

1.
사람들이 주목하지 않는 사회적 문제를 다룸
2.
문제 근거에 따른 문제 검증 단계에서 데스크 리서치만 이루어짐
3.
제품이 매력적이지 않으며 시장성이 떨어짐

피봇 사유

1.
제시하는 문제는 명확했으나 그것이 BM으로 해결이 되는지가 명확하지 않음
: 수익의 10%를 장애예술인에게 제공하는 것이 실질적인 솔루션이 되지 못함
2.
“지속가능성” 측면
: 이후 연결되는 장애인 예술작품 전시회 연결이 부자연스러움
3.
구체성 부족
: 다양한 업체들 간의 컨택이 확정되지 못함

피봇 분석 및 개선점

1.
문제검증의 구체화
: 필드 시서치를 통해 문제 상황을 보다 세밀하게 분석하고 정확하게 검증할 수 있음
또한 현장 상황에 적합한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음
2.
장애예술인에게 직접접인 도움이 되는 솔루션
: 장애예술인이 겪는 문제를 직접적으로 해결하는 BM이 아니라고 판단. 명확하게 사회문제와 사회문제의 해결이 드러나 있게 수정할 필요가 있음
3.
지속가능한 프로젝트 구체화
: 전시회 등 지속가능한 프로젝트를 위한 계획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음

우리 BM의 BEST 3가지

1.
제품의 3D 모델링을 통해 프로토타입 제작
: 치수 및 색상 등을 고려해 디퓨저 조립 전후 모습을 모델링하였고, 이를 통해 프로토타입 제작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고민해 볼 수 있었음
2.
다양한 기관에 컨택함으로써 BM의 사회적 가치에 부합하는 협업체 선정
: 한국장애예술인협회, 뤼미에르 퍼퓸, 인비저블 등에서 협업 여부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 받음
3.
BM 기획 시 지속가능성을 고려하며 문제해결에 중장기적인 관점을 더함
: 80개의 목표판매수량 달성이라는 단기적인 목표 외에도 배리어프리 전시 개최라는 장기적인 목표를 통해 지속가능성을 고려

새로운 아이디어 제안

1.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적 문제 재설정
: 시각 장애 아동을 위한 다감각 교구 부족 문제를 새로운 사회 문제로 설정함
2. 새로운 아이디어 소개
: (BM소개)
선조들의 지속가능한 삶의 지혜를 다감각적으로 배울 수 있는 ’우리 문화를 담은 점자 촉각키트’
(사회적 가치)
1.점자 촉각 교구 부족 등으로 인해 심화되는 장애 아동 교육 불평등 문제를 해결
2.다감각 교구를 통해 시각 장애 아동의 구체화 및 표현 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시각장애아동의 사회적 능력을 증진

느낀점/배운점

1.
필드 리서치의 필요성
: BM 기획시 문제 근거 및 문제 검증 단계에서 필드 리서치를 진행하지 않고 2차 자료만을 활용한 결과, 문제 당사자와 문제 현황 등 오감이 선정한 사회문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해당 사회문제 해결을 도모하게 됨. 이에 따라 오감 프로젝트는 제안하는 솔루션이 해당 사회 문제 해결과 관련성이 떨어지는 것처럼 보인다는 치명적인 단점을 얻게 됨.
: 피봇 이후 새로운 BM 개발시, 문제 근거 및 검증 단계에서부터 직접 발로 뛰며 문제 당사자들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통해 1차 자료를 수집 및 활용하고, 이를 기반으로 솔루션을 구성해야할 필요성을 강하게 느낌.
2.
프로토타입 실물 구현의 중요성
: 전문 3D 모델링 프로그램을 통하여 프로토타입을 입체적이고 실제적으로 디자인하였으나, 이 프로토타입을 실물로 구현하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함. 그 결과, 아트 디퓨저라는 오감의 제품 형태가 상당히 복잡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예산 내에서 구현 및 판매가 가능한지에 대해 실질적으로 검증을 하지 못하여, 수익 창출이라는 기업의 기초 목적 달성 가능 여부조차 확인하지 못함.
: 피봇 이후 새로운 BM 개발시, 비즈니스 모델의 프로토타입 디자인이 확정되면 이를 직접 실물로 구현하는 과정을 거치며 예산의 정확도를 높이고, 수익 창출 가능성을 검토해야할 필요성을 강하게 느낌. 이에 더하여, 프로토타입 디자인의 실물 구현을 통해 실물 구현 이전에는 알지 못했던 제품의 문제점들을 발견하여 해결하며 제품의 퀄리티를 높이고, 궁극적으로는 솔루션의 효과를 향상시킬 중요성을 강하게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