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home
2025 LOOKIE
home

오감

감각을 통한 너와 나의 공감, 오감(五感)은 시각장애아동의 교육 불평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맞춤형 다감각 교구를 제작하여 제공합니다. 오감은 오감의 제품 경험으로 시각장애아동이 사회적 능력을 증진하도록 하며, 궁극적으로 이들의 삶 전반에 지속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비즈니스 모델 소개

BM 활동시기
팀원(5명)
BM 기획서
LOOKIE 성과공유회 INNOVATER DAY
2022.04.17 ~ / 2022.06.17~
윤수빈(팀장), 김도영, 김준우, 박세현, 손지원, 이유진
데모데이 IR 피칭덱 _ 오감.pdf
1763.8KB

Intro

시각장애아동 필수 학습을 위한 주춧돌 마련, 오감의 소명입니다.

우리는 으로 본 일상의 여러 정보를 바탕으로 매일을 살아갑니다.
시각장애아동은 시각 외 감각을 통해 일상에 필요한 것을 학습하고 매일을 살아갑니다.
그러나, 시각장애 아동을 위한 교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입니다.
❶ 자라나는 시각장애아동이 일상생활 영위를 위한 최소한의 교육을 받는 것조차 어려울 정도로 이들을 위한 다감각 교구가 부족합니다.
❷ 다감각 교구의 부재는 시각장애아동의 촉지각 발달 자체를 어렵게하여 이후 시각장애아동의 교육에 큰 걸림돌로 작용합니다.
오감은 시각장애 아동들이 겪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여 이들의 삶에 주춧돌이 되고자 합니다.
SDGs, 지속가능발전 목표
Goal 4. 양질의 교육
: 모두를 위한 포용적이고 공평한 양질의 교육 보장 및 평생학습 기회 증진
Goal 10. 불평등 감소
: 국내 및 국가 간 불평등 감소

Problem

① 다감각 교구 부족

시각장애아동의 교육에 필요한 점자동화책은 제작비용과 시간이 일반 도서에 4배에 달하고 대량생산이 어려워 일반도서 대비 약 1.6% 정도만 보급될 정도로 시각장애아동이 사용할 수 있는 교구가 부족한 상황입니다.
시각장애아동은 개인이 가지는 기본적인 일상생활을 넘어 능력, 관심, 흥미 등을 다양하게 느끼고 발달시킬 수 있는 교육의 기회를 동등하게 가져야 하며 아동들의 특수한 욕구에 맞는 교구들이 필요하다.
[문제검증을 위한 면담]
하상장애인복지관 이현주 사회복지사 “시각장애아동은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독서를 할 수 없고, 점자를 통해 책을 읽는 속도도 오래 걸리다 보니 학습을 따라가기 어렵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시각장애아동을 위한 교재와 교구가 원활히 보급되지 않기 때문에 시각장애 및 중복장애 아동들의 교육문제 해결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효정학교 정은진 교무부장 “아동들의 교육에 있어 활동과 놀이 중심의 교육과정은 매우 중요하지만, 시각장애아동들을 위한 맞춤형 교재와 교구들이 부족합니다.”
다감각 교구를 포함하여 시각장애아동을 위한 교재와 교구자체가 매우 부족한 상황

② 시각장애아동의 촉지각 발달 기회 부족

점자학습은 정교한 소근육 기술을 바탕으로 의사소통을 습득하는 과정입니다. 촉지각 경험은 점자를 읽고 쓰는 기술적인 측면 뿐 아니라 수량, 부피, 온도, 크기, 모양, 개념, 무게, 인과관계, 시간차 등의 전반적인 개념과 이해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시각장애 아동에게 촉지각 교육은 특히 매우 중요합니다.
유아동기에 언어적 기반이 되는 감각을 발달시켜 점자 기술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풍부한 촉각에 대한 경험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다감각 교구의 부족이라는 문제는 시각장애 아동의 촉지각 발달 기회 부족이라는 문제를 연쇄적으로 야기시키고 있습니다.
[문제 검증을 위한 조사 및 면담]
국립특수교육원 (점자학습 준비교육 - 촉각활동지침서) “촉각자극을 통한 학습은 다른 감각을 통한 연계학습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좋은 감각과 지각의 발달은 그가 경험하는 촉각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별히 시각으로 정보를 받아들이는데 제약이 있는 시각장애 영유아의 경우, 촉감경험에 의해 지각이 발달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청주맹학교 정신애 교사 “시각장애아동의 학습에는 점자와 촉지각이라는 두 가지 축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리고 점자의 독해에도 촉지각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에서, 시각장애아동의 촉지각 교육의 필수성 및 중요성은 여러 번 강조해도 부족할 정도입니다. 어릴 때 촉지각 관련 경험을 많이 한 시각장애아동들은 통상적으로 점자를 읽는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그리고, 특히 다감각 교구가 시각장애아동의 촉지각 발달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시각장애아동의 촉지각 발달은 아동의 지각 및 점자 학습 능력에 큰 영향을 미침

Solution

옛 선조들의 지속가능한 삶의 지혜를 다감각적으로 배울 수 있는 “우리 문화를 담은 점자 촉각 키트” 제작
다양한 경험을 통한 표현과 다감각적 경험을 제시합니다
시각장애 아동이 평소 만질 기회가 없던 촉각재를 경험하고 상상만 하던 문화 유산들을 직접 촉각을 통해 관찰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짚, 나무, 돌, 황토의 친환경 촉각재를 만져보면서 ‘까슬까슬’, ‘오돌토돌’, ‘거친’ 등 다양한 표현 어휘를 흥미롭게 배울 수 있습니다.
점자학습 이전의 촉지각 발달에 도움을 제공합니다
시각장애 아동이 새롭게 만지는 물체에 대해 거부감을 갖는 것을 상쇄하고 단계적으로 촉감활동을 진행하면서 촉지각 발달을 돕습니다.
시각장애 아동이 능동적 주체로 거듭나도록 돕겠습니다.
다감각 교구의 부족으로 인해 다양한 촉각적 경험을 하지 못했던 시각장애아동에게 대상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할 수 있는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시각장애 아동은 다감각적 경험을 통한 표현학습의 기회를 가지며 이는 긍정적 정서의 발달로 이어져 사회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Target Needs

타겟 : 시각장애아동의 학습을 담당하는 사회복지사 및 특수교사
타겟의 Needs
특수 교구 제작 및 배포의 낮은 효율성
유아교육현장의 장애통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시점에 이르기까지 장애아동 및 장애영유아를 지도하기 위한 특수교구 및 교재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미비합니다. 이에 따라 교사들은 교구 및 교재를 직접 고안하여 제작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예비 교사 및 현장에서 장애영유아와 비장애영유아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들이 시간과 노력을 들여 교구, 교재를 제작하였지만 그 수고에 비해 활용도가 낮은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 임경옥 외 3인, “특수교구 교재제작”, 학지사
다감각 교구의 부족과 수정의 어려움
시각장애아동의 학습에 필요한 촉각 등 다양한 감각을 강조하여 사용하는 교구가 시중에 많지 않습니다. 시각장애아동을 위한 교구를 선택함에 선택의 폭이 매우 좁으며 제품의 종류 또한 부족합니다. 이로 인해 복지관 및 맹학교는 시각장애아동을 위해 시중 제품들을 직접 수정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어느 곳을 눌러야 소리가 나오는지 표시를 하거나 다양한 재료들을 부착하는 등으로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교구들을 사서 직접 재수정합니다. 해당 학교가 교구 및 교재를 만드는 곳이 아니기에 어려움이 많습니다. 교육 시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재료들이 많다면 훨씬 더 재미있고 다양한 교육을 진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 효정학교 정은진 교무부장 인터뷰 中

Market

현재 국내 시각장애아동의 교육을 위한 점자책 및 교구재 보급률은 약 1%로 시각장애인의 문맹률은 약 86%에 달해 교육 기회의 불평등이 심각한 실정입니다.
“시각장애아동은 비장애아동과 달리 시력을 통한 문자인식이 어려워 점자 등 촉각기구를 통해 문자를 자주 접하고 익히는 것이 중요한데, 국내 교육기관에서는 이러한 교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 장인선, “시각장애아동들의 일상에 활력을”, 헬스경향, 2022.10.17
“시각장애 아동들은 점자 학습, 촉지 훈련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지만 이를 위한 교구재가 시장에 부재한 실정이다” - 김대일, “담심포, 시각장애 아동의 사회성 향상 위한 ‘점자촉각 놀이교구재’ 출시”, THE FIRT, 2022.02.24
시각장애아동을 위한 촉각 교구 및 교재를 비롯한 다감각 교구들이 많이 제작되고 있지 않아 그 시장 규모가 작고, 이를 파악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시장 내 제품 분석
담심포 다감각 교구의 특징
부드러운 천을 주 재료로 사용하며 점자와 촉각을 강조하는 제품 형태를 가집니다. 다양한 놀이를 통해 아이들이 점자를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며, 아동의 특성에 맞는 감각적인 교구로 시각장애 아동이 겪는 교육불평등 해결하고자 합니다.
오감 다감각 교구의 특징
오감은 담심포와 마찬가지고 다감각 교구를 통해 시각장애 아동이 겪는 교육불평등을 해결하고자 하는 공통적인 목표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오감의 다감각 교구는 아이들이 촉지각 능력과 입체지각 능력을 기르는 것에 초점을 두며 입체적인 공간을 인지하고 머릿속에 형상화하도록 돕는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시장성장률
국내 점자 촉각 교구 시장은 규모가 매우 작으며 경쟁기업으로는 담심포가 국내에서 거의 유일합니다. 하지만, 현재 복합장애 아동의 수가 증가하고 있고 이들의 교육 불평등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고 있는 만큼 국내 점자 촉각 교구 시장은 높은 성장이 기대되는 매력적인 시장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확실한 주요 타겟층을 확보하면 장기적으로 사업을 이어나갈 수 있기에 사업의 안정성 측면에서 이점을 가질 수 있습니다.
경쟁자 분석

담심포

국내에서 유일하게 시각장애 아동을 위한 점자촉각 교구 및 교재를 전문적으로 제작하고 판매하는 사회적 기업입니다. 2013년부터 2019년까지 시각장애아동을 위해 전국의 바느질 봉사자들과 함께 점자촉각책을 만들어 전국의 맹학교와 점자도서관에 개발•보급한 바 있습니다.
▲ 담심포와 오감의 포지셔닝맵
교육의 목표
주요 경쟁기업인 담심포가 제작하는 점자촉각책은 가장 근본적인 점자 교육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반면, 오감은 입체초가집모형을 통한 촉지교육으로 시각장애아동이 취약한 입체적 대상을 인지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
판매 및 유통 경로
오감은 시장진입 초반이기에 대중성이 부족하고 판매 경로가 열악합니다. 이에 오감은 공격적인 마케팅보다 오히려 공공기관에 대한 판매에 집중해 소비자들에게 제품의 품질과 효용성에 대한 신뢰를 줄 것입니다. 시장의 타겟이 명확한만큼 신뢰성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차별화 방안 및 시장 진입 전략
주변에서 만지거나 접하기 어려운 친환경 재료에 대한 접근성 강화
주변에서 만지기 어려운 친환경 재료들에 대한 접근성을 제고함으로써 새로운 촉각적 경험을 제공합니다. 일상 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없는 친환경 촉각재들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시각장애아동들이 새롭고 다양한 촉감을 통해 촉지각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합니다.
입체모형을 통한 입체의 형상화
입체모형을 통한 입체 형상의 구체화 능력을 증진시킵니다. 시각장애 아동들은 건축물과 같이 한 손에 들어오지 않는 크기의 사물을 만지고 이해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시각 장애아동은 상상만 하였던 문화유산들을 촉각적으로 관찰하고 구체화할 수 있는 입체모형을 통해 특정 대상을 머릿속에 형상화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합니다.
촉지각 발달학습
초가집 입체모형모형에 사용된 촉각재를 활용한 촉각활동을 담은 촉감키트를 제작함으로써 기존 시장에서 찾기 어려운 ‘시각장애아동의 촉지각 발달학습’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경쟁성을 확보한 채 시장에 진입하고자 합니다.
전통과 문화유산 시리즈
1편 : 초가집에서 더 나아가 기와집, 한복 등 문화유산 시리즈물로 제작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시각장애 아동을 넘어서 일반 아동까지 확장하여 판매함으로써 다감각적으로 문화를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을 가지고자 합니다.
3단계 학습
1단계 : 시각장애 아동들은 짚, 황토, 돌, 나무의 촉각재를 처음으로 자유롭게 만져보며 상대적으로 낯선 촉각에 익숙해지는 학습을 합니다.
2단계 : 촉각재를 활용하여 시각장애아동들의 촉감활동 직접 참여를 통해 촉지각 발달을 이루어 냅니다.
3단계 : 시각장애아동들은 촉각재가 부착된 초가집 입체모형을 촉각적으로 체험해봄으로써 전통적 요소를 학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유롭게 탐색하며 느껴지는 다양한 촉감에 대해 이야기하고, 촉감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 개념과 표현기법을 기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시각장애 아동은 촉지각을 단계적으로 발달시키고 점자 학습을 위한 기초적인 역량을 길러낼 수 있습니다.

Business Model

타겟 고객
시각장애아동에게 다감각적인 교육과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는 기관 맹학교, 복지관, 점자도서관 등
주요니즈
예비 점자 훈련으로 촉지각 발달 교육의 중요성 대두 촉각에 대한 부정적 경험 상쇄를 통하 시각장애아동의 건강한 성장 도모
니즈 해결 솔루션
시각장애아동이 촉감활동과 입체모형을 통해 다감각적 경험 제공
입체적인 대상에 대한 형상화 및 구체화 능력 함양
궁극적으로 키트 학습 과정을 통해 시각장애아동의 촉지각 발달이 이루어지도록 돕는 것이 목표

초가집 입체모형

초가집 입체모형 제품 사이즈 : 240 X 130 X 100 (mm) 재료 : 황토, 자갈, 나무, 짚
황토 벽
거칠다 / 오돌토돌하다 : 벽을 각기 다른 손가락으로 쓸기 : 손가락으로 문 움직이기
나무 대청마루
막혀있다 / 뚫려있다 : 손가락으로 모든 단면을 쓸어보기 : 대청마루의 선 따라잇기
자갈 기단
쌓여있다 : 기단을 위에서 아래로 쓸기 : “돌이 몇 개, 몇 줄인가요?”
짚 지붕
비스듬하다 / 경사지다 : 지붕을 위에서 아래로 쓸기 : 지붕을 만지고 자유롭게 이야기하기

촉감활동 키트 및 지침서

촉감활동 키트 및 지침서
촉감활동키트 구성품
: 황토, 돌, 나무, 짚 각각의 촉각재 & 활동 놀이교구
촉감활동 지침서
: 촉각재를 통해 할 수 있는 촉감활동 제시

입체모형 만지기 전, 사전 촉감활동이 필요한 이유

“시각장애아동들은 오랜 병원 생활로 인해 낯선 촉감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다. 그렇기에 시각장애인들이 만져본 적 없는 낯선 촉각재들을 부착한 입체모형에 대한 거부반응을 상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사전에 입체모형에 사용된 촉각재들로 다양한 촉감 활동을 구성해 촉각재들과 친밀해질 수 있는 시간을 가지게 한다. - 청주맹학교 정신애 선생님 면담 中- “

촉각재별 촉감활동

나무
사물 변별하기 > 같은 모양 찾기 여러가지 도구 사용하기 > 끼우는 도구 사용하기
자갈
다양한 촉감 체험하기 > 모양과 재질이 다른 물건 탐색하기 점자의 기초 > 숫자 익히기
황토
다양한 촉감 체험하기 > 만져보고 느낌 표현하기
다양한 촉감 체험하기 > 모양과 재질이 다른 물건 탐색하기
비지니스 모델 도식화
유통 및 판매 경로
‘우리 문화를 담은 촉감키트: 초가집편’이 1차 판매인 만큼, 소비자에게 오감 브랜드를 홍보하고 제품에 대한 신뢰를 제공할 수 있는 마케팅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방문허가를 받은 타겟고객을 방문하여 우리 문화를 담은 촉감키트 제품을 홍보하고 판매합니다.
브랜드 지속가능성
판매를 통해 산출된 수익은 추후 ‘우리문화를 담은 촉감키트 2편, 3편’으로 제작합니다. 한복, 기와집과 같이 문화 다양한 촉감키트 시리즈 제작에 재투자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어냅니다.
제품 개발
도면제작
도면점검 및 조립
화방 및 아키라운지 업체 방문
촉각재 실험
제품 발전 양상
1차 프로토타입
2차 프로토타입
최종 프로토타입 및 1차 샘플

Pilot / MVP Test

MVP 대상
[청주 맹학교 정신애 선생님]
선정 이유 : 시각장애 유아 교육 제공 및 촉지각 연구 진행, 잠재적 고객
Ⅰ. 촉각활동 지침서 : 점자학습 준비교육 (공동집필) Ⅱ. 시각장애학생지원센터 운영실제 (공동저자) Ⅲ. ‘시각장애유아 통합교육지원 우수사례’ 교육부장관상 수상
MVP 일시 : 2022.09.23
MVP 테스트 내용
1. 시각장애 유아 교육자로서 해당 제품을 사용할 것인지 2. 해당 제품이 가지는 강점과 보완점이 있는지 3. 해당 제품이 시각장애 유아에게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지
MVP 테스트 결과

“시각장애아동을 위한 긍정적 영향의 연쇄 작용이 100%”

다양한 촉각적 경험
“아이들은 짚, 황토, 나무, 자갈을 만질 기회가 거의 없는데 이를 인위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자연물에 대한 다양한 촉각적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다.”
“입체적 모형을 통해 제공되는 교육의 방식은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적인 개념으로 체득화할 수 있게 하며, 이는 시각장애 아동의 색다른 촉각 경험이 될 것이다.”
촉지각에 대한 인식 확산
“시각장애 아동들에게 촉지각을 위한 교구가 필요하다는 인식 자체를 널리 알리는 것이 매우 중요한 상황이다.”
“실제로 교육 현장에서도 이러한 제품이 많이 없기에 해당 제품을 구매하여 주변기관에게 나누어 주고자 한다. 이러한 인식을 가져준 것에 대해 고마우며 점점 이러한 인식이 확산될 수 있을 것이다.”

키트를 접하기에 앞서 촉각 경험에 대한 경계심을 낮추는 과정이 필요”

촉감활동 제시
“아동들이 촉각을 싫어하는 이유 중 하나가 병원생활을 하기 때문이다. 어느날 갑자기 끌려가서 주사를 맞는 등의 경험들 때문에 아무거나 만지지 않으며, 특히 차가운 것들을 싫어한다”
촉감활동 키트 제작
황토, 돌, 짚, 자갈 등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재료가 아닌 만큼, 시각장애 아동들이 재료들과 친숙해지고 탐색할 수 있는 과정을 먼저 제시합니다.
기존 점자동화책 형태의 제품에서 촉감활동을 할 수 있는 키트로 변경하였습니다.
촉지각 발달 지침서 제시
“시각장애 아동에게 점자를 읽고 쓰는데는 촉각기술이 필요하며, 촉지각을 발달시킬 수 있는 단계가 필요하다”
교사용 활동 지침서 제작
교구를 활용하여 시각장애 아동의 촉지각을 발달시킬 수 있는 활동을 제시합니다. 다양한 촉각을 경험, 체험하며 촉지각을 구조화함으로써 발달을 자극시킬 수 있는 활동지침서를 제작하였습니다.
견고성 & 안전성 제시
“아이들이 만질 때는 살살 만지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만지다가 푹 꺼질 수도 있다. 작업이 정교해야 되고, 아이들이 돌이나 지붕 등을 자꾸 뜯으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접착을 견고하게 할 것을 주의해야 한다”
마감처리 주의
수작업이기 때문에 이음새 등의 작업을 정교화하고, 나무의 가시, 날카로운 부분이 없도록 주의하였습니다. 전체적으로 사포질을 하고, 리스 및 왁싱 처리를 통해 나무결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하여 제작하였습니다.

Social Impact

점자학습을 위한 촉지각 경험 제공

시각장애를 가졌다고 해서 모두 촉각이 예민한 것은 아니다. 촉각은 훈련과 활용을 통해 점차 개발시켜야 한다. 상대적으로 큰 촉각 자극을 식별한 후 점차 작은 자극을 식별하고 모양, 크기, 촉감, 온도 등이 서로 다른 자극을 변별하는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시각장애아동의 촉각 민감도를 개발할 수 있으며, 촉각 민감도 개발을 통해 결국 점자의 ‘점’이라는 촉자극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

구매처 내 촉지각 발달 프로그램 제공

‘우리 문화를 담은 촉감키트’를 구매한 복지관은 시각장애 아동에게 다양한 경험을 통해 촉지각 발달 및 거부감 상쇄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복지관은 1년에 최소 12개 이상의 촉지각 발달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으며 점자학습 이전에 필요한 감각들이 통합될 수 있는 촉감활동 프로그램이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다감각교구 시장 확대

우리나라에서 시각장애아동을 위한 촉감교구를 비롯한 다감각교구는 많이 제작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시장규모가 매우 작고, 시각장애아동이 겪고 있는 교육불평등 문제에 대한 인식수준이 낮은 것으로 시작됩니다. 오감이 제작한  ‘우리 문화를 담은 촉감키트’가 시장에 판매된다면 시각장애아동이 겪는 교육 불평등 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고 문제 해결에 대한 노력이 증가하게 될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아동을 위한 촉지각 교육의 필요성을 각인시킬 뿐 아니라 점자 중심의 교구 시장에서 점자가 표현하는 대상을 직접 만져보고 상상할 수 있는 교구의 다양화된 시장으로 변화할 수 있습니다

Team

감각을 통한 너와 나의 공감, ‘오감’

‘감각’과 ‘공감’ 오감은 그 누구도 감각의 결여로 인하여 사회를 살아가는데 어려움을 겪지 않게 하며, 자신을 표현하고 한 명의 구성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최우선 가치로 여기고 있습니다. 오감은 이러한 가치의 공유 및 확산을 통하여 모두가 같은 감각을 가지지 못할지라도 함께 소통하며 공감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고자 합니다.

팀원소개

다양한 전공의 팀원들로 구성된 오감은 문제를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각문제 해결 역량을 통해 시각장애아동의 촉지각 발달을 위한 교구 개발 및 제품 발전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회복지학과 윤수빈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재학
한국사회공헌협회 청년챔프단 소외분과 분과장 / ‘홍익인간’ 팀장
2021년 장애의 재해석 논문경진대회 입상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창작준비지원팀 인턴
강남세움복지관 실습 수료
연세대학교 장애인권위원회 기획국원
장애예술 제품 개발팀 ‘SID’ 대외협력부원
정치외교학과 김도영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재학
건축학과 김준우
연세대학교 건축학과 재학
경제학과 손지원
연세대학교 언더우드학부 경제학과, 도시공학과 재학
언더우드국제대학 경제학과 학생회 교육국원
포스코 대학생 봉사단 비욘드 14기 기획총무팀 (사회변화 도시재생 프로젝트 기획 및 진행)
UN HABITAT 한국위원회 서포터즈 1기 수료
생활디자인학과 이유진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재학
경영학과 박세현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재학
LG ESG 아카데미 8기 수료
RC 창의플랫폼 교내 배리어 프리지도 제작 참여

Vision

보이지 않아도 보이는 세상’을 위한 초석

보이는대로 판단하지 않고, 항상 시각장애아동의 입장에 서서 세상을 바라보겠습니다.
SDGs #4 양질의 교육 #10 불평등 감소를 위한 하나의 발걸음을 내딛겠습니다.
세계를 ‘보는 방식’, 즉,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을 위한 또 하나의 감각, 오감이 되겠습니다.
단계별 목표 수립
구분
활동 목표
수익 목표
초가집 입체모형 도안 완성 및 촉각재 구입. 초가집 1차 샘플 제작. 자문 기관과의 회의 및 샘플 검수.
없음.
최종 셈플제작 후 교육 프로그램 기획 구성. 타겟 고객을 대상으로 방문홍보.
없음.
제품 배포 및 소비자만족도조사
584,640원
COUNT4

활동일지

July 2025
Today
S
M
T
W
T
F
S
날짜
구분
참가자
내용
첨부 파일
2022/04/08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프로젝트명 확정, BM 구체화 논의
220408.docx
2022/04/09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1차 BM 심사 기획서 작성 내용 통일, 제품 디자인 및 구성 요소 결정
220409.docx
2022/04/11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협업체 컨택 결과 공유, 제품 디자인 및 구성 요소 추가 논의, 프로젝트 로고 디자인
220411.docx
2022/04/12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1차 BM 심사 기획서 수정 및 마무리
220412.hwp
2022/04/13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IR 피칭 피피티 및 대본 작성, IR 피칭 영상 촬영 및 수정, 1차 BM 심사 예산안 작성
220413.docx
2022/04/27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1차 BM 심사 결과 확인 후 추가 피드백 논의, BM 방향 수정
220427.docx
2022/04/29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새로운 BM 아이디에이션 발표, BM 결정, 예산신청서 작성
220429.docx
2022/05/04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오감 노션 페이지 수정, 워크스테이션 BM 심사 기획서 ‘미션 수립’ 부분 추가 수정
220504.docx
2022/05/06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루키 BM 심사 날짜 확정 오감 디퓨저 피드백 논의 오감 디퓨저 내부모델 결정
220506.docx
2022/05/12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1차 심사 관련 SK측 피드백 분석, 문제검증 부분 필드리서치 계획
220512.docx
2022/05/18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BM 문제 및 제품 변경, BM 기획서 초안 논의
220518.docx
2022/05/20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사회 문제 구체화, BM 기획서 워딩 단순화
220520.docx
2022/05/24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BM 기획서 수정본 수합 및 수정, 세부액션플랜 수정
220524.docx
2022/05/25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피봇 BM 일정 조정, 피봇 예산서 작성
220525.docx
2022/06/02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BM 기획서 수정, 필드리서치 컨택 대상 및 일정 조율
220602.docx
2022/06/22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다감각 교구 주제 재선정 및 구체화 방향 논의
220622.docx
2022/06/23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제품 프로토타입 컨셉 결정
220623.docx
2022/06/25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제품 프로토타입 과제 공유, 시장조사 진행, 프로토타입 결정
220625.docx
2022/07/04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프로토타입 모델 구체화, 필드리서치 면담 질문 구성
220704.docx
2022/07/06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프로토타입 제작 일정 및 협업체 구체화, 제작 의뢰 역할분담
220706.docx
2022/07/13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필드리서치 면담 결과 공유 후 현 BM 문제점 도출, 새로운 BM 제시, 제품 최종 확정
220713.docx
2022/07/20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워크스테이션 발표 대본 작성, BM 액션플랜 구체화
220720.docx
2022/08/03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시중의 초가집 키트 분석, 초가집 우드락 도안 제작, SK루키 사무국 면담 진행
220803.docx
2022/08/10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초가집 도안 목재 조사 일정 구체화, 구매할 촉각재 리스트업
220810.docx
2022/08/17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tpgusdl01@naver.com
박세현
Load more
날짜
내용
입출금 금액
담당자(결제자, 총무)
영수증(메인정산서)
2022/07/28
₩2,000,000
손지원
손지원
2022/08/20
₩-59,490
손지원
손지원
KakaoTalk_Photo_2022-11-02-20-56-00.jpegKakaoTalk_Photo_2022-11-02-20-55-56.jpegKakaoTalk_Photo_2022-11-02-20-55-51.jpegKakaoTalk_Photo_2022-11-02-20-55-37.jpegKakaoTalk_Photo_2022-11-02-20-55-33.jpegKakaoTalk_Photo_2022-11-02-20-55-29.jpegKakaoTalk_Photo_2022-11-02-20-55-03.jpeg
2022/09/30
₩-26,400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손지원
손지원
KakaoTalk_Photo_2022-11-02-21-01-31.jpegKakaoTalk_Photo_2022-11-02-21-01-34.png
2022/10/02
₩-107,500
손지원
손지원
Screen Shot 2022-11-02 at 9.09.58 PM.pngScreen Shot 2022-11-02 at 9.09.53 PM.pngScreen Shot 2022-11-02 at 9.09.46 PM.png
2022/10/11
₩-5,000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KakaoTalk_Photo_2022-11-02-21-00-59.jpeg
2022/10/16
₩-16,380
손지원
손지원
Screen Shot 2022-11-02 at 9.11.30 PM.pngScreen Shot 2022-11-02 at 9.09.53 PM.png
2022/10/29
₩-19,000
수빈 윤
수빈 윤
손지원
손지원
KakaoTalk_Photo_2022-11-02-21-04-56.jpegKakaoTalk_Photo_2022-11-02-21-04-59.jpeg
2022/11/09
₩-13,500
손지원
손지원
Screen Shot 2022-11-14 at 9.21.24 PM.pngScreen Shot 2022-11-14 at 9.21.37 PM.png
2022/11/14
₩-3,900
손지원
손지원
Screen Shot 2022-11-14 at 9.15.35 PM.pngScreen Shot 2022-11-14 at 9.16.03 PM.pngScreen Shot 2022-11-14 at 9.16.16 PM.png
2022/11/24
₩-15,900
손지원
손지원
Screen Shot 2022-11-24 at 6.28.33 PM.pngScreen Shot 2022-11-24 at 6.28.44 PM.pngScreen Shot 2022-11-24 at 6.28.53 PM.pngScreen Shot 2022-11-24 at 6.29.09 PM.png
2022/11/28
₩-4,000
손지원
손지원
Screen Shot 2022-11-28 at 4.28.22 PM.pngScreen Shot 2022-11-28 at 4.28.31 PM.png
2022/11/30
₩-24,000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손지원
손지원
IMG_4395.JPG
2022/12/06
₩-144,100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손지원
손지원
2022/12/26
₩-41,100
손지원
손지원
215F321B-28C2-4796-80AC-8C28EC7730DE.jpeg0475964B-E71D-4E69-A727-DF27671415BE.jpegB0B78E1A-FB39-4935-BA1C-936394C59EB7.jpeg
2023/01/04
₩-100,600
손지원
손지원
0FA602DF-1AA1-4B55-8602-324972C4991A.jpegEA3D7FD4-F485-4AAC-9A06-2354DA75A411.jpeg1745963D-FD88-450C-BDDF-F7D617FB587B.jpeg63F96C8F-A019-4C52-8DEB-E97BEB15ADCE.jpeg
2023/01/11
₩-513,000
doyoungkim1113@gmail.com
김도영
손지원
손지원
IMG_4393.JPG
2023/02/01
₩-4,000
손지원
손지원
IMG_4392.JPG
2023/03/02
₩-26,400
손지원
손지원
777D55A8-9DBF-4079-9C40-E557C984D656.jpeg81BCC34F-E898-4EF0-B455-5E8BB96523EC.jpeg
2023/03/06
₩-2,000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손지원
손지원
KakaoTalk_Photo_2023-04-02-15-52-40.jpeg
2023/03/08
₩-1,300
julian2009@naver.com
김준우
손지원
손지원
IMG_4387.JPG
Load more
COUNT73
SUM₩-568,875
예산 신청서 및 정산서
LOOKIE 2022 2차 BM 심사 예산 신청서_연세대학교 오감.xlsx
16.6KB
LOOKIE 연세대학교 오감팀 정산서(22년 인준평가).xlsx
14.4KB

기타

 2022 고등교육혁신원 SUMMER WORKSTATION 우수상
2022 고등교육혁신원 SUMMER WORKSTATION 참여
SK 행복재단 2차 BM 심사 : 200만원 (전액) 지원
SK 행복재단 3차 BM 심사 : 200만원 (전액) 지원
데모데이 결선 (IR 피칭) 대회 진출 _ 270만원 지원
Bridge to the next growth : 장애 문제 해결을 위한 청년 스타트업 네트워킹 행사
2023 LOOKIE 성과공유회 : 문제의 진짜 답을 발견하는 '현장'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