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매안심센터에서는 해결할 수 없는 일
•
치매안심센터에 방문하시지 못하는 분들의 원인?
홍보, 지인 소개, 보호자랑 같이 오기도 하고
•
치매안심센터 방문 현황(1인가구 치매환자 비율)
절반은 안 되는 듯, 독거 치매 환자 통계적으론 없고 점점 늘고 있는 거 같고, 부부 치매 환자도 늘어나고 있, 독거 중에서도 근방에 보호자가 살고 있으면 그 독거 치매환자는 관리가 잘 됨. 무슨 일 있으면 언제든지 갈 수 있는, 어떤 보호자를 가지고 있냐에 따라 다름, 같이 살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관리가 잘 안 되는 경우도 있, 직장에 갔다오는, 보호자의 관심도가 중요, 경제적인 것도 중요하긴 함
일주일이 2, 3번 정도 오셔서 프로그램 받고 가시는, 밤에는 안 함, 주야간 보호센터, 데이케어센터랑은 조금 다름
치매를 발견하는 게 커서 검증하는 게 커서 치매가 아니신 분들도 오시긴 함
기초지자체에 필수적으로 한개씩 있음
•
치매안심센터의 주요 업무(진단, 프로그램 등), 업무를 만드는 방법
도움이 될만한 활동은 직접 기획, ICT 관련 프로그램, 큰 틀 자체는 비슷
조기발견, 증상악화 방지
스크리닝 치매 의심되면 병원 추천하고, 나빠지는 속도를 줄여주고
주민센터에 가시기도 하시고 여기에 노인분들이 오시고 하고
평가도구 중앙치매센터 지침서에 있음
•
치매안심센터의 구성원(부서, 하는 업무)
센터장은 의사시고 겸직,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등이 있음
•
보호자나 환자들이 주로 요청하는 사항, 만족하는 요인(보호자가 가장 많이 호소하는 어려움)
요구도 조사, 대상자마다 다름, 새로운 거, 활동하는 거를 선호하시는 경향, 선택활동도 함 그 시간동안 하고 싶으신 거 아무거나
•
치매 환자가 가장 많이 겪는 정서적/행동적 문제
기억다방
경층치매환자가 바리스타로 활동하시고, 치매 환자
•
치매 환자를 다룰 때 가장 힘든 점
•
경증 치매 환자 루틴
•
어떤 기술이 가장 도입하기 쉬울 것 같으신가요?
체험존 받음
중앙치매센터 홈페이지
배회
스마트워치 제품을 제공하기도 함 수량 제한
거부하면 안 해드림
잘 차는 사람들은 잘 차고 아니면 잘 안 차고
배회가 가장 걱정됨
안전상 문제
집 안에서 욕구가 충족이 안 되서 나갈 수도 있고
활동적이어서 나갈 수 있고
공문서
치매센터 봉사로 봉사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