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home
2025 LOOKIE
home

필버디 - PILLBUDDY

안녕하세요, 연세대학교 소셜벤처 학회 AIM 소속 창업팀 PILLBUDDY입니다.
PILLBUDDY(필버디)는 IoT 기반 하드웨어 솔루션을 통해 고령층의 복약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령층 및 만성질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건강 수명 연장을 지향합니다. 나아가, UNSDG 목표 3 ‘모든 연령층의 건강한 삶 보장과 복지 증진’ 달성을 위한 혁신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비즈니스 모델 소개

BM 활동시기
팀원(2명)
BM 기획서(파일 첨부)
2025.03 ~ (개발 중)
서승현, 이준명

소셜 미션

약물 치료에 의존하는 고령층 만성질환자의 올바른 복약 습관 형성을 통한 건강 유지와 증진
고령층이 만성질환, 합병증으로 인해 다양한 의약품을 동시에 복용할 경우, 불가피한 의약품 중복처방, 상충효과 등으로 인해 유발되는 약물 부작용 문제 해결

사회 문제 정의

”노년층 만성질환자 약 제때 복용 안해 부작용 위험이 높지만,

여전히 해결책 부족으로 인해 노인 2명 중 1명은 약물 관련 문제로 입원”

1. 고령층 복약 문제

1 - 1. 다제약물 복용으로 인한 복약사고

1) 문제 해결의 필요성

의약품 과다 및 중복 복용은 신장 및 간 기능 저하 등의 부작용을 유발합니다.
고령 환자는 노화로 인해 신(腎)독성 및 간독성에 더욱 취약합니다.
여러 의약품을 복용할수록 상충 효과 및 부작용 발생 위험이 증가합니다.
다제약물 관리사업/방문 약료 사업 노인주의약물 발견 사례 多
5 종류 이상의 의약품을 복용하는 국내 66세 고령층 환자 중 7%가 노인 부적절 약물을 복용합니다:
2가지 약물 동시에 복용 시 부작용 발생률: 13%
7가지 약물 동시에 복용 시 부작용 발생률: 82%

2) 다제약물 복용 문제 현황

여러 의약품을 복용할수록 병원 입원/응급실 방문 비율이 증가하며, 부작용 발생 위험이 증가합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2022):
다약제 사용 그룹 입원/응급실 방문 경험률 각각 1.24배, 1.26배
과도한 다약제 그룹 입원/응급실 방문 경험률 각각 1.62배, 1.74배
10종 이상의 의약품을 복용하는 다제약물 복용자는 1,361,700명
국민건강보험공단(2024년): 10종 이상의 의약품을 복용하는 다제약물 복용자는 1,361,700명
이중 고령층은 1,108,559명으로 다제약물 복용 인구의 79% 차지

1 - 2. 복약 불순응으로 인한 약물 치료 효과 저조

1) 문제 해결의 필요성

정해진 시기, 주기 및 용량을 포함한 복약 가이드라인을 정확히 따라야만 의도된 약물치료 효과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즉, 복약 가이드라인의 준수는 장기적인 환자의 모니터링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혈압약을 제대로 복용하지 않을 경우 뇌심혈관 질환 발병률이 60% 증가합니다.

2) 복약 순응도 문제 현황

복약 불순응에 가장 취약한 계층은 약물 치료에 의존하는 고령층이며 이중에서도 1인 고령 가구가 가장 복약 순응도가 저조합니다. 그러나, 1인 고령 가구의 수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대한민국 노인 환자의 복약 순응도는 인식 부족으로 인한 약에 대한 양가감정, 인지 능력 저하 등의 원인으로 대체적으로 저조합니다.
노인환자의 복약순응도 50~65% 로 보고되었습니다. 이는 성인환자의 복약순응도(82.4%) 및 미국의 노인 입원환자 복약순응도(67.3%) 보다 낮은 수치입니다.
고혈압 치료를 위해 연 1회 이상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사람은 890만명 중 64% 만이 꾸준히 고혈압 치료제 처방합니다.

2. 부적절한 복약습관으로 인한 사회 전반의 약품비 부담 증가

고령자의 부적절한 복약습관 국민건강보험제도를 적용하고 있는 대한민국 사회 전체에 재정적인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건강보험 진료비 110.8조원 중 44%는 노인 진료비가 차지합니다.
2023년 기준 전체 진료비 110.8조원 중 사회가 부담한 약품비는 26조1966억원입니다.
대한민국 의료 체계의 진료 과목 분업 특성으로 인해 중복 처방 현상이 발생하며 이는 다제약물 사고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처방과 의약품 낭비를 유발합니다.
의약품 낭비와 조달체계 개선의 필요에 대한 지적은 2017년 OECD보고서에 언급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저조한 복약 순응도와 다제약물 사고로 구성된 고령층의 복약문제는 반드시 해결되어야 하는 사회 문제입니다.

솔루션

개발현황

구분
활동 목표
수익 목표
피드백 사항 반영하여 추가테스팅 완료
검증 분석 및 보완점 파악 완료
- IHEI FESTA '소셜데모데이, 연세대 학생창업경진대회 , SK LOOKIE 행복나눔재단 데모데이를 위한 역량 강화
- Y-Compass 학생창업팀 멘토링을 통한 자문 예정 - 추가 리서치 및 테스팅 필요
COUNT7

향후 계획

임팩트 측정

고령층 약물 오남용 방지(복약 순응도 개선과 다제약물 복용으로 인한 부작용 감소)를 통한 건강 향상 및 삶의 질 개선

기대 효과

고령층 건강 향상 및 삶의 질 개선
부모 세대의 약물 미복용으로 인한 자녀 세대의 불안감 감소
사회 전반의 고령층 약품비 및 진료비 부담 경감

활동일지

September 2025
Today
S
M
T
W
T
F
S
날짜
구분
세부 구분
참가자
비고
회의록 링크 (Google Docs)
2025/04/27
PL 소환 회의
서승현
서승현
이준명
mjiwon1000@gmail.com
지원 문
(학부대학 상경계열) 김예빈
(학부대학 상경계열) 김예빈
https://docs.google.com/document/d/1utye6MmQ0d7ICJdN7hOdNWWmLtlz-aWGn9XWQEUJgew/edit?tab=t.0
2025/07/13
PL 소환 회의
서승현
서승현
mjiwon1000@gmail.com
지원 문
(학부대학 상경계열) 김예빈
(학부대학 상경계열) 김예빈
https://docs.google.com/document/d/1OdNvu-U6Ywn_cChJyZKHqL_fyvpvNYPGBWX7YzmP_S0/edit?tab=t.0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