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LLBUDDY - 필버디는 IoT 기술을 활용한 하드웨어 기반 솔루션을 통해 약물 복약 문제를 해결하고, 고령층 및 만성질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며 UNSDG 목표 3 - ‘모든 연령층의 건강한 삶을 보장하고 복지를 증진한다.’ 달성을 실현하고자 합니다.
비즈니스 모델 소개
BM 활동시기
팀원(2명)
BM 기획서(파일 첨부)
2025.03 ~ (개발 중)
서승현, 이준명
소셜 미션
•
약물 치료에 의존하는 고령층 만성질환자의 올바른 복약 습관 형성을 통한 건강 유지와 증진
•
고령층이 만성질환, 합병증으로 인해 다양한 의약품을 동시에 복용할 경우, 불가피한 의약품 중복처방, 상충효과 등으로 인해 유발되는 약물 부작용 문제 해결
사회 문제 정의
”노년층 만성질환자 약 제때 복용 안해 부작용 위험이 높지만,
여전히 해결책 부족으로 인해 노인 2명 중 1명은 약물 관련 문제로 입원” [1]
1. 부적절한 복약습관, 약물 오남용으로 인한 고령층의 건강 악화
1 - 1. 다제약물 복용으로 인한 부작용 발생
1) 문제 해결의 필요성
•
의약품 과다 및 중복 복용은 신장 및 간 기능 저하 등의 부작용 유발
◦
고령 환자는 노화로 인해 신(腎)독성 및 간독성에 더욱 취약
•
여러 의약품을 복용할수록 상충 효과 및 부작용 발생 위험 증가
◦
다제약물 관리사업/방문 약료 사업 노인주의약물 발견 사례 多
◦
5 종류 이상의 의약품을 복용하는 국내 66세 고령층 환자 중 7%가 노인 부적절 약물 복용[5]:
◦
2가지 약물 동시에 복용 시 부작용 발생률: 13%
7가지 약물 동시에 복용 시 부작용 발생률: 82% [6]
2) 다제약물 복용 현황
•
여러 의약품을 복용할수록 병원 입원/응급실 방문 비율 증가
◦
건강보험심사평가원(2022):
▪
다약제 사용 그룹 입원/응급실 방문 경험률 각각24배 1.26배
▪
과도한 다약제 그룹 입원/응급실 방문 경험률 각각62배 1.74배
◦
10종 이상의 의약품을 복용하는 다제약물 복용자는 1,361,700명
▪
국민건강보험공단(2024년): 10종 이상의 의약품을 복용하는 다제약물 복용자는 1,361,700명
•
이중 고령층은 1,108,559명으로 다제약물 복용 인구의 79% 차지
1 - 2. 복약 불순응으로 인한 약물 치료 효과 저조
1) 문제 해결의 필요성
•
정해진 시기, 주기 및 용량을 포함한 복약 가이드라인을 정확히 따라야만 의도된 약물치료 효과를 보장할 수 있음. 즉, 복약 가이드라인의 준수는 장기적인 환자의 모니터링에 필수적인 요소임
◦
혈압약을 제대로 복용하지 않을 경우 뇌심혈관 질환 발병률 60% 증가 [7]
2) 복약 순응도 문제 현황
•
복약 불순응에 가장 취약한 계층은 약물 치료에 의존하는 고령층이며 이중에서도 1인 고령 가구가 가장 복약 순응도가 저조 [8]
•
그러나, 1인 고령 가구의 수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9]
•
대한민국 노인 환자의 복약 순응도는 인식 부족으로 인한 약에 대한 양가감정, 인지 능력 저하 등의 원인으로 대체적으로 저조
◦
노인환자의 복약순응도 50~65% 로 보고됨. 이는 성인환자의 복약순응도(82.4%) 및 미국의 노인 입원환자 복약순응도(67.3%) 보다 낮은 수치 [10]
◦
고혈압 치료를 위해 연 1회 이상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사람은 890만명 중 64% 만이 꾸준히 고혈압 치료제 처방[11]
2. 부적절한 복약습관으로 인한 사회 전반의 약품비 부담 증가
•
고령자의 부적절한 복약습관은 국민건강보험제도를 적용하고 있는 대한민국 사회 전체에 재정적인 부담을 주고 있다
•
2023년 기준 건강보험 진료비 110.8조원 중 44%는 노인 진료비가 차지
•
사회가 부담한 약품비는 26조1966억원
•
고령화 시대에 살고 있는 대한민국 사회가 부담해야 할 약품비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대한민국 의료 체계의 진료 과목 분업 특성으로 인해 중복 처방 현상이 발생하며 이는 다제약물 사고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처방과 의약품 낭비를 유발한다.
•
의약품 낭비와 조달체계 개선의 필요에 대한 지적은 2017년 OECD보고서에 언급되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저조한 복약 순응도와 다제약물 사고로 구성된 고령층의 복약문제는 반드시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이다.
솔루션
•
일반 가정 환경에서 상시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디지털 약물 복용 도우미’ pillbuddy ONE
개발현황
임팩트 측정
•
고령층 약물 오남용 방지(복약 순응도 개선과 다제약물 복용으로 인한 부작용 감소)를 통한 건강 향상 및 삶의 질 개선
기대 효과
•
고령층 건강 향상 및 삶의 질 개선
•
부모 세대의 약물 미복용으로 인한 자녀 세대의 불안감 감소
•
사회 전반의 고령층 약품비 및 진료비 부담 경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