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 원 DB
BM 팀별 개발 현황 업데이트 수칙
•
BM 팀별 최소 2주 1회 업데이트 (학교별로 지정된 시험 주간과 그 직전 주는 카운트하지 않음)
◦
업데이트 필수 항목: school, team, number, level, feedback, thoughts, time_stamp
◦
작성할 내용이 있을 시 업데이트할 항목: social_impact, output
•
해당 DB는 2025 LOOKIE 팀들이 함께 공유하고 있습니다. 절대!!! 표의 기본 구조와 다른 팀이 업데이트한 내용을 삭제하거나 수정하지 마세요.
•
개별 BM 페이지에서는 팀 내용만 보기 위해 ‘team’ 필터를 사용해주세요.
•
해당 DB를 바탕으로 2025 LOOKIE BM DASHBOARD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됩니다. 반드시 양식을 지켜주시기 바랍니다.
◦
DASHBOARD 위치: https://lookerstudio.google.com/reporting/8bfa4575-9860-4389-bf50-4c194bd47585 (2025 LOOKIE 전체 페이지 하단에서도 확인 가능)
•
관련하여 문제나 문의사항이 발생할 경우 LOOKIE 기획운영단 김예빈에게 직접 연락주세요. (weemeebee0@gmail.com)
항목별 설명
•
school: 팀 소속 학교 선택
•
team: 팀명 선택 (없을 경우 추가)
•
number: 팀의 개발 현황 업데이트 번호 작성 (n번째 업데이트의 n)
•
level: 현재 BM 개발 단계 선택 (표 참고)
단계 | 문제 정의 | 솔루션 검증 | 사업성 검증 | 프로덕트 개발 | 사업화 | 피봇 |
내용 | 해결할 문제 탐색, 문제 존재 여부 및 원인 검증, 문제에 대한 리서치 단계 | • 사용자가 실제로 솔루션을 필요로 하는가
• 솔루션이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가 | 수익 모델이 실제로 작동하는지 검증
• 고객이 실제로 돈을 지불하는가
• 시장이 충분히 크고 성장 가능성이 있는가 | 앞선 검증 결과 비즈니스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어 실제 프로덕트/서비스를 개발하는 단계 | 비즈니스 모델이 작동하여 실제 사업화하여 운영 | 가설 검증 결과 기존 아이디어가 부적합하다고 판단되어 해당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른 모델을 모색하거나 새로운 문제를 탐색하는 단계 |
예시 | 데스크리서치, 필드리서치 | 잠재 고객 인터뷰, 설문조사 등 (반드시 필요한 게 아니라면 프로덕트 개발 지양) | 시장 조사, 프리토타입 테스트 등 |
•
feedback: 직전 업데이트 이후부터 현재까지 BM에 대해 소속 학교 운영진로부터 피드백을 받은 횟수
◦
피드백 횟수 책정 기준: 팀 입장에서 피드백을 받았다고 생각이 들면 됨
•
thoughts: 현재 팀이 하고 있는 고민, 겪고 있는 어려움 간단하게 작성
◦
ex. 솔루션 아이디어 도출 어려움, mvp 테스트용 개발비 부족
◦
해당 내용 기반으로 기획운영단에서 팀별 상황 파악하여 사무국 교육 / 피드백 등의 형태로 지원 가능
•
social_impact: BM 활동 과정에서 발생한 소셜 임팩트 (그동안의 누적 값을 한 번에 작성해도 됨)
◦
◦
해당 내용 작성하기 전에 학교별 운영진의 검토를 받을 것
•
output: 공모전, 지원사업, 창업 성과
◦
정확한 이름과 연도, 등수, 액수 기재
◦
LOOKIE 심사 포함 교내외 공모전 성과, 펀딩 금액, 창업 여부, 매출 발생 여부와 규모 등
◦
ex. 2025 정주영 창업경진대회 글로벌 트랙 선발 (지원금 500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