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국제 탄소 규제가 강화되면서 탄소배출량 보고서를 준비하고 있는데 쉽지 않다”며 “국내 인증서는 인정되지 못하고, 해외 인증기관에 의뢰하니 국내 비용의 몇 배를 지불해야 하는 상황이다. 사업은 진행해야 하는데 막막하기만 하다”고 전했다.
출처 : 전기신문(https://www.electimes.com)
경쟁사 분석
•
상당한 경쟁사들이 솔루션 + 컨설팅 서비스까지 제공하고 있었음
차별화 데스크 리서치 (1/6 월 게더) — 경쟁사 고객이나 경쟁사에게 이메일과 전화 등, 적극적 리서치
경쟁사&솔루션 @(학부대학 이학계열) 전미강 @지원 문
•
api 가설: 한국 탄소 관리 경쟁사 중 구글 시트 api나 익스텐션을 활용하고 있는 기업이 있는가?
•
UI 질문: 다른 경쟁사들의 UI/UX는 어떠한가
•
비용 가설: 다른 경쟁사들의 수익 구조는 어떠한가?
탄소 배출 계산
•
EEIO
•
LCA > PCF
프로토콜
•
GHG (Green house Gas Protocol)
•
GRI 계수
•
ISO
•
IPCC
규제 및 공시
규제 및 목표 (법이나 국가 선언)
1.
탄소국경조정제도 (CBAM)
•
시행 년도: 2026년 1월 1일 (본격 시행)
•
시행 국가: EU
•
내용:
◦
대상 제품군을 EU에 수출하는 기업은 생산 과정에서 발생한 탄소배출량만큼을 비용으로 인증서 형태로 구매해야 함
◦
2025년 12월까지는 전환기간으로 배출량 보고 의무만 있음
•
적용 산업 분야: 철강, 알루미늄, 시멘트, 비료, 전력, 수소
2.
미국 청정경쟁법(CCA)
•
시행 년도: 2025년 시행 예상
•
시행 국가: 미국
•
내용:
◦
미국과 원산지의 탄소집약도 격차, 탄소가격, 적용비율을 수출 중량에 곱해 탄소세 납부
◦
매년 1월부터 12월까지 발생한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서를 다음해 6월 30일까지 당국에 신고하고 9월 30일까지 납부
•
적용 산업 분야: 철강, 시멘트 등의 원자재
3.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
시행 년도: 2030년 (목표 연도)
•
시행 국가: 한국
•
내용: 2018년 배출량(727.6백만톤) 대비 40%(291백만톤) 감축하여 2030년 배출량을 436.6백만톤으로 설정
•
적용 산업 분야: 전 산업
4.
2050 탄소중립
•
시행 년도: 2050년 (목표 연도)
•
시행 국가: 한국
•
내용:
◦
국내 순배출량을 0으로 하는 2개 시나리오 제시
◦
A안: 배출 자체를 최대한 줄이는 방안
◦
B안: 화력발전이 잔존하는 대신 CCUS 등 제거기술을 적극 활용하는 방안
•
적용 산업 분야: 전 산업
공시 및 보고 가이드라인 (탄소 배출 데이터 보고 형식)
1.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 (CDP)
•
시행 년도: 현재 시행 중 (매년 보고)
•
시행 주체: 국제 비영리 조직 CCDP
•
내용:
◦
기업의 기후변화, 물 보안, 산림 등 환경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평가
◦
2024년부터 기후변화, 산림, 물, 플라스틱, 생물다양성 보고 프레임워크 통합
•
적용 산업 분야: 전 산업
2.
기후관련 재무정보공개 태스크포스 (TCFD)
•
시행 년도: 2017년 권고안 발표, 점진적 도입 중
•
시행 주체: 금융안정위원회 (FSB)
•
내용:
◦
기업의 기후 관련 위험과 기회에 대한 재무적 영향을 공개하도록 권고
◦
지배구조, 전략, 위험관리, 지표와 감축목표 등 4개 영역에 대한 공시 요구
•
적용 산업 분야: 금융 및 비금융 전 산업
3.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 (ISSB) 기후공시기준
•
시행 년도: 2024년 1월
•
시행 주체: 국제회계기준재단 (IFRS Foundation)
•
내용:
◦
IFRS S2 기후 관련 공시 기준에 따른 기업의 기후 관련 위험과 기회 공시
◦
CDP의 2024년 답변사항이 이에 맞춰 변경됨
•
적용 산업 분야: 전 산업
4.
KSSB(한국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
시행 년도:
◦
2025년부터 단계적으로 도입 예정
◦
2024년 5월 기준으로 공개 초안이 발표된 상태
•
적용 대상:
◦
2025년: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
◦
2027년: 자산 1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
◦
2029년: 자산 5000억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
◦
2030년: 전체 코스피 상장사
•
적용 내용:
1.
일반 요구사항:
•
공정한 표시, 중요성, 보고기업, 연계된 정보, 핵심요소 등의 개념적 기반 포함
•
지침의 원천, 공시의 위치, 보고시기, 비교정보, 준수 문구 등 규정
2.
핵심 공시 항목:
•
거버넌스, 전략, 위험관리, 지표 및 목표
3.
기후 관련 정보:
•
기후 관련 위험 및 기회에 대한 정보는 반드시 공시
•
기후 외 다른 지속가능성 관련 주제는 기업 판단하에 선택적 공시
4.
산업별 지표:
•
산업 전반 지표는 의무 공시
•
산업기반 지표는 기업이 선택적으로 공시 가능
5.
추가 사항:
•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공시의 발행 승인일과 승인자 공시 요구
6.
시간 범위 정의:
•
단기: 1년, 중기: 1~5년, 장기: 5년 이후
•
기업별 특성에 따라 다른 정의도 사용 가능
5.
유럽지속가능성보고기준 (ESRS)
•
시행 년도: 2024년부터 단계적 도입
•
시행 주체: EU
•
내용:
◦
EU 내 대기업 및 상장 중소기업의 지속가능성 정보 공시 요구
◦
CDP의 2024년 답변사항이 이에 맞춰 조정됨
•
적용 산업 분야: EU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한국 기업
탄소 배출 @지원 문 @(언더우드국제대학 경제학) 박찬흠 @(학부대학 이학계열) 전미강
•
탄소 배출량 계산 질문: 다른 경쟁사들은 어떻게 배출량을 계산하고 있는가
•
탄소 배출량 계산에 대한 전반적인 프로토콜 정리: 다양한 프로토콜 중에서 무엇을 사용하고, 내용이 무엇인가
•
탄소 배출 계수 조사/산정하는 부분에서 만약에 필요한 탄소 배출 계수가 없을 경우, 우리가 탄소 배출 계수를 산정하거나 원래 계수를 활용하는 방안이 가능할지? (GHG 프로토콜, 한국의 프로토콜, LPA 산정 분석 방식)
•
가장 신뢰있는 국제 표준 탄소 계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