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모델 소개
BM 활동시기
팀원(5명)
BM 기획서(파일 첨부)
2022.04 ~
최주연, 김민선, 김민우, 김찬희, 장현서
소셜 미션
: 멀쩡하지만 버려지는 것들을 활용한 아이템으로 ‘버려지는 것 = 가치 없는 것’이라는 인식 개선
: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증진 촉구
문제 근거
일회용이 아닌 일회용 필름 카메라?
(출처: 스브스뉴스)
: 필름 카메라의 부품은 총 27가지로, 모든 부품을 분해하지 않는 이상 분리수거가 어렵지만 간단한 과정만 거치면 쉽게 재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재사용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족하며, 생산 업체 측에서도 재사용에 관한 대안을 내놓지 않고 있다. 즉 일회용 필름 카메라는 여러 번 재사용될 수 있음에도 너무나 가볍게 버려지고 있다.
앨범깡, 종이 쇼핑백 ・・・ 무분별하게 낭비되는 종이자원
(출처: 유튜브 채널 ‘Lee불’, ‘영짱’)
: 최근 KPOP 팬들 사이에서 앨범을 몇 십, 몇 백장 단위로 대량 구매해 동봉된 랜덤 포토카드와 팬사인회 응모권만 취하는 ‘앨범깡’이 유행이다. 이때 앨범 실물은 포장도 뜯지 않고 버려지거나 방치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 “쇼핑백을 꺼내고 보니 포장지가 있고 그것을 뜯고 보니 또 종이 상자가 있었고, 상자를 열어보니 소형 종이 상자가 또 나왔다. 그리고 그 속에 비닐봉지가 있었고 그제야 내용물이 나오는 것이다. 쇼핑백이랑 종이 상자 등 버려야 할 포장지들이 너무 아까웠다.” (출처: [독자마당] 상품마다 과대 포장지・・・ 자원 낭비 심하다, 매일신문, 손해숙)
솔루션
“이 세상 모든 것들은 각자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
- ⌜FILM BY YOU⌟는 모든 사람, 모든 사물의 가치를 존중하고 사랑하는 것에서 출발합니다.
- ⌜FILM BY YOU⌟, 그리고 저희의 아이템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통해 모두가 서로의 소중함과 가치를 깨달으며, 나아가 궁극적으로 자기 자신의 가치 깨달아 상호간의 사랑과 존중이 가득한, 그리고 지속가능한 세상을 소망합니다.
FILM BY YOU - MAIN ITEM
: 업사이클링 일회용 필름 카메라에 소비자가 가지고 있는 종이 자원으로 개인의 취향을 반영한 필름 카메라 커버를 제작해 재탄생시킵니다.
- 소외된 사회적 노동 약자와 함께 필름 교체 및 선별 작업을 진행하고 소비자들의 소비 과정을 생산 주체와 공유하여 노동에 대한 자신감, 자신이 만든 제품에 대한 애정과 자부심 등의 긍정적 가치를 전달
- 버려지는 일회용 필름 카메라를 재사용하여 환경적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원가 절감을 통해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 역시 감소시켜 추억을 담을 수 있는 ‘필름 카메라’에 대한 소비자들의 접근을 유도
- 소비자가 가지고 있는, 개인이 원하는 종이로 필름 카메라 커버를 제작해 업사이클링 카메라의 ‘사용감’이라는 단점을 보완하는 동시에 개인의 취향을 반영해 MZ세대 소비자들의 초개인화 욕구를 만족
FILM BY YOU;R OWN - 1차 D.I.Y. 키트 프로젝트
: 소비자 스스로 필름 카메라 커버를 제작할 수 있는 D.I.Y. 키트
- 친환경 종이로 제작된 백지 커버 도안을 통해 환경적 부담 최소화
- 소비자가 쉽고 간단하면서도 재미있는 또 하나의 ‘놀이’로 본 프로젝트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
- 키트를 통해 쉽게 필름 카메라 커버를 제작할 수 있는 상세한 설명
- 업사이클링 필름 카메라와 폐종이자원에 대한 환경적 인사이트 제공
- 소비자가 수령한 업사이클링 필름 카메라의 제작에 참여한 사회적 노동 약자에 대한 정보와 인사이트 제공
→ 이를 통해 소비자가 ‘세상 모든 것의 소중함’에 대한 생각을 본 프로젝트와 공유하도록 유도
FILM BY YOU;R SIDE - 2차 팝업 전시 매장 프로젝트
: ⌜FILM BY YOU⌟가 전달하고자 하는 가치와 동시에 현장에서의 폐종이 재단을 통해 업사이클링 카메라를 제공하는 전시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문화생활’ 제공
- 소비자가 원하는 종이를 가져오기만 하면 현장에서 소비자와 함께 종이 재단 및 업사이클링 필름 카메라에 부착하는 과정을 통해 ‘버려질 뻔 했던 사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동시에 새로운 형태의 ‘문화생활’ 제공
임팩트 측정
- 환경적 부담 최소화 및 ‘버려지는 것’의 가치에 대한 인식 개선
- ‘모든 것의 가치와 그 소중함’에 대한 인사트 제공
피봇보고서
활동 단계
우리 BM의 단계에 O 표시
실행 내용
활동 상세 이력
•
현장 활동
시장 조사를 위한 대학생 대상 설문조사 진행
•
전문가 자문 및 협력기관 조사
리사이클링 가능한 일회용 필름카메라를 100-200개 단위로 수거 및 구입이 가능한 서울 소재 사진관을 협력 기관으로 섭외 완료
임팩트 도출 결과
제품의 프로토타입은 제작 완료하였으나, 업사이클링의 실현 가능성의 불확실성으로 피봇.
따라서 제품을 실제 판매까지 이어가지 못하고, 임팩트 또한 창출하지 못함
내/외부 평가
•
소비자 검증/조사 미흡: 소비자들이 우리 제품을 원하는지, 실 구매 의사가 있는지 확인하는 등 BM의 시장성 검증(구체적 수치 자료)이 부족
•
규모가 있는 현상 업체의 반응이 협조적일지 불분명: 규모가 있는 업체들도 이 BM과 비슷한 방식으로 활동을 진행하고 있어 서로 경쟁업체가 될 수 있음
•
초개인화로 인한 한계점을 어떻게 발전하고 차별화할 수 있을지 구체적인 접근이 미흡
•
필름 카메라에 대한 사회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설득력과 근거가 부족 및 이 BM이 재자원화라고 할 수 있을지 의문
피봇 사유
•
필름카메라 업사이클링 시 빛 번짐 등의 기계적 결함 발생 가능성
•
필름 가격 상승으로 인한 판매가 상승 우려
•
제작 과정이 간단해 소비자 수요가 적을 것으로 예상됨
피봇 분석 및 개선점
•
소비자 조사의 구체성과 규모 부족
→ 프로토타입을 포함시켜 기존에 비해 구체화된 설문 진행
•
사회적 문제에 대한 자료조사 및 사회 문제와 해결 방안의 연결성 부족
→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적 문제의 종류를 줄여 BM의 목적을 명확히 함
→ 각 사회 문제 및 해결 방안의 효과에 대한 자료 조사와 인터뷰 진행
•
제품의 차별화된 경쟁력 부족
→ 새로운 제품군 선택 및 홍보 전략 다양화를 통해 경쟁력 강화
우리 BM의 BEST 3가지
1.
타겟층에게 잘 알려진 트렌디한 아이템인 필름카메라를 통한 접근
2.
실제 타겟층들을 생활에서 버려지는 종이 자원이라는 문제를 포착, 이의 실질적 활용 방법을 제안
3.
업사이클링 카메라를 통해 환경 보호와 비용 절감 동시 추구
새로운 아이디어 제안
•
소비자의 입장에서 사회적 문제를 고려해 ‘부족한 역사 인식’이라는 점을 파악,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방면에서 사회적 문제를 잘 전달할 수 있는 아이템을 선정해 기존에 우선적으로 고려했던 트렌드 및 디자인 민감성 뿐 아니라 사회적 가치와 연결되는 스토리텔링 등 여러 부분을 세심하게 고려, 나아가 제작 과정의 독창성을 고려해 다른 제품들과의 차별포인트까지 도출.
느낀점/배운점
•
아이템에 대한 아이디어 뿐 아니라 실질적인 제작과 판매, 그리고 소비자의 사용, 나아가 사용 후까지 전반적인 과정을 고려해야 완성도 높은 비즈니스를 도출 가능.
•
실제 업계 종사자, 소비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충분한 인사이트 교환을 통해 탄탄한 내용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
•
전달하고자 하는 사회적 가치와 아이템 간의 스토리텔링 및 유기성이 중요.